권영길, “집값 높을수록 ‘SKY 진학율’ 높다”
집값이 높은 지역일수록 이른바 ‘SKY(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진학률도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민주노동당 권영길 의원은 19일 전국 232개 기초지자체별 주택 평당 가격과 학원 수강자수가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 진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집값, 학원 수강자수와 ‘SKY’ 진학자수와의 다중 상관계수가0.893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상관계수는 두 항목간 상관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1이면 두 항목이 완전한 상관 관계를, 0.7∼0.8 정도면 높은 상관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별 ‘SKY’ 합격률(SKY 09학년도 합격자수/지역 고3학생수)을 보면 서울 강남구가 8.95%로 1위, 서초구가 8.82%로 2위, 경기 과천시가 8.55%로 3위였고 의왕시(8.47%), 광진구(7.09%), 부산 연제구(6.90%), 강원도 횡성군(5.52%), 강동구(5.38%),충남 공주시(5.20%), 서대문구(5.17%)가 뒤를 이었다.
이들 상위 10위의 합격률 평균은 7.37%로 전국 평균(1.87%)의 4배에 달했고, 집값 1, 2, 3위인 과천시, 강남구, 서초구는 합격률에서도 순위만 바꿔 1∼3위를 차지했다.
특히 최근 3년간 SKY 합격자수 상위 10개 지역의 집값 평당 가격은 전국 평균 3천602만원의 1.2배∼3.8배에 달했다. 이중 강남.서초.송파 강남3구의 경우 고3학생 비율은 전국의 3.5%인데 3년간 SKY 합격자 중에서는 13.1%를 차지했다.
반면 집값 하위 10개 지역의 SKY 합격률은 0.18%로 전국 평균의 10분 1 수준이었다. 또 합격률 상위 10개 지역중 강남구와 서초구를 제외한 8개 지역에 특목고와 자사고가 있었고, 최근 3년간 서울대 합격자의 53.9%, 연.고대 합격자의 62.8%는 서울.경기 출신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서울.경기와 비교해 1인당 GRDP(지역내 총생산)과 근로소득은 높지만부동산 등 자산을 포함한 종합소득은 낮은 울산의 경우 SKY합격률은 서울의 4분의 1수준으로 나타났다. 권 의원은 “이번 분석 결과 자산과 소득이 명문대 진학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통계치로 확인됐다”며 “공교육을 정상화하지 않으면 서민의 자녀가 좋은 대학에 갈 가능성은 점점 줄어들 것이며 교육정책은 저소득층이 많은 지역의 학생들을 더 지원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정은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집값이 높은 지역일수록 이른바 ‘SKY(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진학률도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민주노동당 권영길 의원은 19일 전국 232개 기초지자체별 주택 평당 가격과 학원 수강자수가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 진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집값, 학원 수강자수와 ‘SKY’ 진학자수와의 다중 상관계수가0.893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상관계수는 두 항목간 상관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1이면 두 항목이 완전한 상관 관계를, 0.7∼0.8 정도면 높은 상관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별 ‘SKY’ 합격률(SKY 09학년도 합격자수/지역 고3학생수)을 보면 서울 강남구가 8.95%로 1위, 서초구가 8.82%로 2위, 경기 과천시가 8.55%로 3위였고 의왕시(8.47%), 광진구(7.09%), 부산 연제구(6.90%), 강원도 횡성군(5.52%), 강동구(5.38%),충남 공주시(5.20%), 서대문구(5.17%)가 뒤를 이었다.
이들 상위 10위의 합격률 평균은 7.37%로 전국 평균(1.87%)의 4배에 달했고, 집값 1, 2, 3위인 과천시, 강남구, 서초구는 합격률에서도 순위만 바꿔 1∼3위를 차지했다.
특히 최근 3년간 SKY 합격자수 상위 10개 지역의 집값 평당 가격은 전국 평균 3천602만원의 1.2배∼3.8배에 달했다. 이중 강남.서초.송파 강남3구의 경우 고3학생 비율은 전국의 3.5%인데 3년간 SKY 합격자 중에서는 13.1%를 차지했다.
반면 집값 하위 10개 지역의 SKY 합격률은 0.18%로 전국 평균의 10분 1 수준이었다. 또 합격률 상위 10개 지역중 강남구와 서초구를 제외한 8개 지역에 특목고와 자사고가 있었고, 최근 3년간 서울대 합격자의 53.9%, 연.고대 합격자의 62.8%는 서울.경기 출신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서울.경기와 비교해 1인당 GRDP(지역내 총생산)과 근로소득은 높지만부동산 등 자산을 포함한 종합소득은 낮은 울산의 경우 SKY합격률은 서울의 4분의 1수준으로 나타났다. 권 의원은 “이번 분석 결과 자산과 소득이 명문대 진학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통계치로 확인됐다”며 “공교육을 정상화하지 않으면 서민의 자녀가 좋은 대학에 갈 가능성은 점점 줄어들 것이며 교육정책은 저소득층이 많은 지역의 학생들을 더 지원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정은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