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학년도 대입 1학기 수시모집 등록자의 86%가 고3 재학생들로 파악돼 재수생보다 재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15일 밝힌 ‘1학기 수시모집 등록자 현황’에 따르면 전국 64개 대학 등록자 7111명 중 고3 학생수는 6139명에 달했다. 이는 전체 모집정원의 86.3%에 해당하는 수치다.
반면 재수생과 검정고시생은 972명에 불과했다. 이같은 결과는 수능성적을 반영하지 않고 학교장 추천 및 학생부 성적, 경시대회 수상 실적 등의 선발방법으로 재학생들이 재수생보다 유리할 것이라는 분석과 일치된 결과다.
이와 관련 교육부가 16개 시도교육청을 상대로 조사한 수시 1학기 모집 지역별 합격자 현황은 경기지역이 1532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서울이 1316명을 합격시켜 수도권지역에서만 전체 재학생 합격생의 46.4%를 배출했다.
이어 부산 360명, 전남 352명, 광주 337명, 전북 335명, 경남 332명, 경북 279명, 충남 268명, 울산 259명, 인천 255명, 강원 212명, 대구 133명, 충북 112명 순이었다. 대전은 49명, 제주 8명으로 최하위 권이었다.
교육부 관계자는 “시도별 재학생수 대비 입학예정자 비율이 0.5∼1.5% 정도”라며 “10명 이상 합격생을 배출한 전국의 고교수는 70곳 쯤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1학기 수시모집이 처음 시행되면서 합격자들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또 다소 산만해진 수험생들의 분위기도 바로잡아야 할 과제로 제기된다.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15일 밝힌 ‘1학기 수시모집 등록자 현황’에 따르면 전국 64개 대학 등록자 7111명 중 고3 학생수는 6139명에 달했다. 이는 전체 모집정원의 86.3%에 해당하는 수치다.
반면 재수생과 검정고시생은 972명에 불과했다. 이같은 결과는 수능성적을 반영하지 않고 학교장 추천 및 학생부 성적, 경시대회 수상 실적 등의 선발방법으로 재학생들이 재수생보다 유리할 것이라는 분석과 일치된 결과다.
이와 관련 교육부가 16개 시도교육청을 상대로 조사한 수시 1학기 모집 지역별 합격자 현황은 경기지역이 1532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서울이 1316명을 합격시켜 수도권지역에서만 전체 재학생 합격생의 46.4%를 배출했다.
이어 부산 360명, 전남 352명, 광주 337명, 전북 335명, 경남 332명, 경북 279명, 충남 268명, 울산 259명, 인천 255명, 강원 212명, 대구 133명, 충북 112명 순이었다. 대전은 49명, 제주 8명으로 최하위 권이었다.
교육부 관계자는 “시도별 재학생수 대비 입학예정자 비율이 0.5∼1.5% 정도”라며 “10명 이상 합격생을 배출한 전국의 고교수는 70곳 쯤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1학기 수시모집이 처음 시행되면서 합격자들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또 다소 산만해진 수험생들의 분위기도 바로잡아야 할 과제로 제기된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