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초 강남권을 중심으로 상승하던 아파트 매매가격이 4월 이후 서울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가 지난해 12월부터 5월 현재까지 서울 25개구의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을 월별로 조사한 결과 2008년 12월 상승을 보였던 구는 단 한 곳도 없었으나 4월에는 절반이상인 13개구가 상승세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상승세는 5월에도 이어지고 있어 15일을 기준으로 현재 16개구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을 주도한 곳은 강남권으로 1월에만 강남구(0.29%)와 송파구(1.01%) 강동구(1.02%) 3구가 가장 먼저 회복세를 보였다. 이들 지역은 제2롯데월드 건립, 한강변 초고층 재건축 허용 등 각종 개발호재가 연이어 발표되고, 투기지역 해제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재건축 및 재개발 물량을 중심으로 급매물 위주의 거래가 이뤄졌다. 또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가 무산됐지만 부동산 가격 상승에 일조한 것으로 분석됐다.
오름폭이 가장 큰 강동구는 지난해 12월과 비교해 15일 현재 4.97%의 변동률을 보였다. 이중에 천호동 49㎡는 7000만원이 오르면서 1억7000만~2억원에 시세를 기록했다. 무려 60.87%나 상승한 것이다.
경기 불황에다 대단지 입주로 12월에만 1.88% 하락했던 송파구도 각종 개발 호재로 인해 1월 1.01%, 2월 1.23%, 3월 0.09%, 4월 1.54%, 5월 현재 0.30%로 꾸준히 오름세를 유지했다.
본격적인 상승이 시작된 시기는 4월이다.
강남발 집값 상승은 대출금리 인하와 집값이 바닥을 쳤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도심권으로 번지기 시작했다. 특히 개발호재가 겹친 성동구에서는 급매물뿐만 아니라 정상매물까지 거래가 이뤄졌다.
성동구는 지난달 6일 1차 산업뉴타운으로 지정된 데 이어 같은달 15일에는 성수전략정비구역 1종 지구단위계획구역안이 통과되는 등 사업 진행이 급물살을 타면서 매매가격 오름세를 보였다. 여기에 왕십리 민자역사가 문을 열면서 인근지역 아파트 호가가 크게 올랐다.
5월에는 강서구 노원구 동대문구 구로구 금천구 동작구 중구 등 7개 구가 올 들어 처음으로 상승세 또는 보합세로 돌아섰다.
강북권에서는 급매물 위주로 거래가 이뤄져 노원구(0.03%), 동대문구(0.00%)가 올해 처음 하락세에서 벗어났다. 5월 말 서울지하철 9호선 개통을 앞두고 있는 강서권에서도 강서구(0.07%), 동작구(0.03%)가 처음으로 플러스 변동률을 기록했다.
반면 성북구와 은평구, 관악구, 서대문구는 지난해 12월 이후 줄곧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러한 매매가격 상승은 전세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닥터아파트가 집계한 지난주 서울지역 전세가 변동률은 0.05%로 금천구와 도봉구 서대문구 용산구 구로구 등을 제외하고 상승 내지 보합세를 보였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가 지난해 12월부터 5월 현재까지 서울 25개구의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을 월별로 조사한 결과 2008년 12월 상승을 보였던 구는 단 한 곳도 없었으나 4월에는 절반이상인 13개구가 상승세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상승세는 5월에도 이어지고 있어 15일을 기준으로 현재 16개구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을 주도한 곳은 강남권으로 1월에만 강남구(0.29%)와 송파구(1.01%) 강동구(1.02%) 3구가 가장 먼저 회복세를 보였다. 이들 지역은 제2롯데월드 건립, 한강변 초고층 재건축 허용 등 각종 개발호재가 연이어 발표되고, 투기지역 해제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재건축 및 재개발 물량을 중심으로 급매물 위주의 거래가 이뤄졌다. 또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가 무산됐지만 부동산 가격 상승에 일조한 것으로 분석됐다.
오름폭이 가장 큰 강동구는 지난해 12월과 비교해 15일 현재 4.97%의 변동률을 보였다. 이중에 천호동 49㎡는 7000만원이 오르면서 1억7000만~2억원에 시세를 기록했다. 무려 60.87%나 상승한 것이다.
경기 불황에다 대단지 입주로 12월에만 1.88% 하락했던 송파구도 각종 개발 호재로 인해 1월 1.01%, 2월 1.23%, 3월 0.09%, 4월 1.54%, 5월 현재 0.30%로 꾸준히 오름세를 유지했다.
본격적인 상승이 시작된 시기는 4월이다.
강남발 집값 상승은 대출금리 인하와 집값이 바닥을 쳤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도심권으로 번지기 시작했다. 특히 개발호재가 겹친 성동구에서는 급매물뿐만 아니라 정상매물까지 거래가 이뤄졌다.
성동구는 지난달 6일 1차 산업뉴타운으로 지정된 데 이어 같은달 15일에는 성수전략정비구역 1종 지구단위계획구역안이 통과되는 등 사업 진행이 급물살을 타면서 매매가격 오름세를 보였다. 여기에 왕십리 민자역사가 문을 열면서 인근지역 아파트 호가가 크게 올랐다.
5월에는 강서구 노원구 동대문구 구로구 금천구 동작구 중구 등 7개 구가 올 들어 처음으로 상승세 또는 보합세로 돌아섰다.
강북권에서는 급매물 위주로 거래가 이뤄져 노원구(0.03%), 동대문구(0.00%)가 올해 처음 하락세에서 벗어났다. 5월 말 서울지하철 9호선 개통을 앞두고 있는 강서권에서도 강서구(0.07%), 동작구(0.03%)가 처음으로 플러스 변동률을 기록했다.
반면 성북구와 은평구, 관악구, 서대문구는 지난해 12월 이후 줄곧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러한 매매가격 상승은 전세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닥터아파트가 집계한 지난주 서울지역 전세가 변동률은 0.05%로 금천구와 도봉구 서대문구 용산구 구로구 등을 제외하고 상승 내지 보합세를 보였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