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주민들은 24일 수해피해 원인이 부천시의 하수관 부실시공에 있다며 관련 증거를 제시하고 재발방지와 보상을 요구하고 나섰다. 주민들이 직접 피해 원인을 조사하다가 증거를 찾아낸 것으로 다른 지자체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원미2동 주민대책위는 예년과 피해지역이 틀린데 의문을 갖고 자체조사를 하던 중 하수관 안에서 물의 흐름을 막는 250mm의 버려진 대형도시가스관을 찾아냈다.
주민대표 김희훈씨는 “하수관에 2/3이상의 토사물이 쌓여 있어 이를 파내자 가스관이 드러났다”며 “가스관으로 인해 하수관에서 물이 빠지지 않고 지상으로 역류해 피해가 커졌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시공업체인 S사는 20일 밤 해당 가스관을 제거하는 공사를 하면서 사진촬영을 하는 주민들을 막아 책임을 은폐하는 의혹을 사기도 했다. 주민대책위는 “도면에 있는 집수받이도 제구실을 하지 못하는 등 관청의 감독 소홀로 피할 수 있는 수해를 불러왔다”며 재발방지와 피해주민의 보상을 요구했다.
시공회사 안전관리팀 관계자는 “가스관이 크지는 않더라도 침수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해 재발방지를 위해 제거한 것”이라며 은폐의혹을 일축했다. 이 관계자는 “해당 가스관은 하수관이 건설된 1995년 이전부터 조성돼 있었으며 이설이 힘들자 해당구청에서 그 위에 하수도를 지어버린 것”이라며 책임이 없다고 주장했다.
원미구청 건설과 관계자는 “1995년 당시 이설공사를 완료하지 않은 시공업체에 1차적인 책임이 있다”고 주장해 관청과 업체의 책임소재를 놓고 논쟁이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부천시 하수과 관계자는 유사사례가 더 있을 것으로 보고 관내 전 지역 하수관에 대해 전면적인 점검을 하겠다고 밝혔다.
/ 부천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원미2동 주민대책위는 예년과 피해지역이 틀린데 의문을 갖고 자체조사를 하던 중 하수관 안에서 물의 흐름을 막는 250mm의 버려진 대형도시가스관을 찾아냈다.
주민대표 김희훈씨는 “하수관에 2/3이상의 토사물이 쌓여 있어 이를 파내자 가스관이 드러났다”며 “가스관으로 인해 하수관에서 물이 빠지지 않고 지상으로 역류해 피해가 커졌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시공업체인 S사는 20일 밤 해당 가스관을 제거하는 공사를 하면서 사진촬영을 하는 주민들을 막아 책임을 은폐하는 의혹을 사기도 했다. 주민대책위는 “도면에 있는 집수받이도 제구실을 하지 못하는 등 관청의 감독 소홀로 피할 수 있는 수해를 불러왔다”며 재발방지와 피해주민의 보상을 요구했다.
시공회사 안전관리팀 관계자는 “가스관이 크지는 않더라도 침수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해 재발방지를 위해 제거한 것”이라며 은폐의혹을 일축했다. 이 관계자는 “해당 가스관은 하수관이 건설된 1995년 이전부터 조성돼 있었으며 이설이 힘들자 해당구청에서 그 위에 하수도를 지어버린 것”이라며 책임이 없다고 주장했다.
원미구청 건설과 관계자는 “1995년 당시 이설공사를 완료하지 않은 시공업체에 1차적인 책임이 있다”고 주장해 관청과 업체의 책임소재를 놓고 논쟁이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부천시 하수과 관계자는 유사사례가 더 있을 것으로 보고 관내 전 지역 하수관에 대해 전면적인 점검을 하겠다고 밝혔다.
/ 부천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