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가 발표한 ‘고소득 가구의 지출 형태 및 관점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은 규칙적으로 저축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인 응답자의 91%가 월소득의 평균 31%를 저축한다고 답해 아태지역에서 저축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저축을 한다고 답한 한국인 고소득층은 예금(43%), 부동산(30%), 펀드(29%) 및 주식(22%) 등 전통적인 투자 상품에 자금을 할애하는 성향이 강했다. 이에 반해 예술작품 (12%), 고급 차량 (12%), 와인(7%) 및 고미술품 (6%) 등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령이 낮을수록 (18~25세의 68%, 26~35세의 44%) 월소득에서 저축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다. 아태지역 전체 결과를 보면 고소득 가구의 87%가 월소득의 약 4분의1 가량(23%)을 저축한다고 답했으며, 인도(94%) 한국(91%) 중국(91%) 및 싱가포르(91%)가 월소득 중 저축 비율이 가장 높았다. 제임스 딕슨 (James Dixon) 비자코리아 사장은 “비자 조사에 따르면 고소득 가구의 대부분이 규칙적인 저축 계획을 유지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태지역의 고소득 가구는 월 소득의 약 4분의 1 가량을 저축하고 있으며, 이를 투자 기회로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전했다.
정재철 기자 jc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축을 한다고 답한 한국인 고소득층은 예금(43%), 부동산(30%), 펀드(29%) 및 주식(22%) 등 전통적인 투자 상품에 자금을 할애하는 성향이 강했다. 이에 반해 예술작품 (12%), 고급 차량 (12%), 와인(7%) 및 고미술품 (6%) 등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령이 낮을수록 (18~25세의 68%, 26~35세의 44%) 월소득에서 저축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다. 아태지역 전체 결과를 보면 고소득 가구의 87%가 월소득의 약 4분의1 가량(23%)을 저축한다고 답했으며, 인도(94%) 한국(91%) 중국(91%) 및 싱가포르(91%)가 월소득 중 저축 비율이 가장 높았다. 제임스 딕슨 (James Dixon) 비자코리아 사장은 “비자 조사에 따르면 고소득 가구의 대부분이 규칙적인 저축 계획을 유지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태지역의 고소득 가구는 월 소득의 약 4분의 1 가량을 저축하고 있으며, 이를 투자 기회로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전했다.
정재철 기자 jc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