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도 어물쩡 빠져나가나.
정인봉(한나라당·서울 종로) 의원의 체포동의안 처리문제가 19일 본회의를 앞두고 또다시 논란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4·13 총선 전 TV 카메라 기자들에게 향응을 제공한 혐의로 기소된 정 의원은 그 동안 19번의 공판 중 13번을 출석하지 않아 불체포특권을 이용한 재판기피 정치인의 대표적인 인물로 지목된 상태. 참다 못한 재판부가 체포동의요구서를 제출했다. 일단 여권은 자진출두에 대한 확실한 보장이 없다면 원칙대로 본회의에서 처리하겠다는 강경 입장이다.
민주당 송훈석 수석부총무는 17일 “원내대책회의와 총무회담을 해봐야 하겠지만 정 의원이 자발적으로 출두하지 않으면 <국회법>에 따라 원칙대로 처리한다는 게 당론이다”면서 “무작정 기다릴 수도 없으므로 늦어도 이번 달 안으로 처리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송 부총무는 사법부에서 요청한 것이므로 삼권분립 정신에 따라 무시할 수 없지 않느냐는 태도다. 또한 이번 달 안이라고 못을 박은 것은 6월 임시국회 본회의가 19일과 28∼30일까지 예정돼 있으므로 이때까지는 어떤 형태로든 처리가 돼야 한다는 입장인 것이다.
이에 반해 한나라당 이재오 총무는 같은 날 “3당 총무가 정 의원의 자진출석에 맡기기로 하고 더 이상 거론하지 않기로 했는데 왜 자꾸 언론이 거론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3당 총무간에 일정한 양해가 됐다는 것이다.
또한 이 총무는 ‘정 의원이 지금까지도 약속하고 안 지키지 않았냐’는 거듭된 질문에 “기자가 무슨 검찰수사관이냐 뭐냐”며 대뜸 불쾌감을 드러냈다. 한나라당 입장에서는 정 의원 문제가 가급적 언론에 오르내리지 않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물론 정 의원 스스로 자진 출석해 당의 부담을 덜어주길 내심 기대하지만 이 또한 쉽지 않아 곤혹스런 입장이다.
자민련 이완구 총무 입장은 또 다르다. 우선 이재오 총무가 3당 총무간에 양해가 됐다는 발언을 한 것에 대해 “두 사람(이재오, 이상수 총무)간에 얘기를 했는지는 몰라도 나는 전혀 들어본 적이 없다”며 부인했다.
하지만 이 총무는 “일단 양당의 얘기 특히 한나라당측 얘기를 들어봐야 어떤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제한 뒤 “자진출석에 대한 확실한 보장만 있다면 굳이 체포동의안을 논의할 필요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처럼 정 의원 체포동의안에 대해 현재로서는 여야 3당 사이에 상당한 입장차이가 있다.
일단 19일 열릴 본회의가 첫 고비가 될 전망이다. 3당 총무는 18일 총무회담에서 이 문제에 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다. 현재로서는 정 의원이 성실히 재판에 임하겠다는 약속을 하고 체포동의안 처리를 미루는 쪽에 가장 무게가 실리고 있다.
결국 지난해 말 정 의원이 확약서까지 쓰면서 검찰의 체포동의 위기를 넘겼던 상황이 그대로 재현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국회법>
정인봉(한나라당·서울 종로) 의원의 체포동의안 처리문제가 19일 본회의를 앞두고 또다시 논란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4·13 총선 전 TV 카메라 기자들에게 향응을 제공한 혐의로 기소된 정 의원은 그 동안 19번의 공판 중 13번을 출석하지 않아 불체포특권을 이용한 재판기피 정치인의 대표적인 인물로 지목된 상태. 참다 못한 재판부가 체포동의요구서를 제출했다. 일단 여권은 자진출두에 대한 확실한 보장이 없다면 원칙대로 본회의에서 처리하겠다는 강경 입장이다.
민주당 송훈석 수석부총무는 17일 “원내대책회의와 총무회담을 해봐야 하겠지만 정 의원이 자발적으로 출두하지 않으면 <국회법>에 따라 원칙대로 처리한다는 게 당론이다”면서 “무작정 기다릴 수도 없으므로 늦어도 이번 달 안으로 처리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송 부총무는 사법부에서 요청한 것이므로 삼권분립 정신에 따라 무시할 수 없지 않느냐는 태도다. 또한 이번 달 안이라고 못을 박은 것은 6월 임시국회 본회의가 19일과 28∼30일까지 예정돼 있으므로 이때까지는 어떤 형태로든 처리가 돼야 한다는 입장인 것이다.
이에 반해 한나라당 이재오 총무는 같은 날 “3당 총무가 정 의원의 자진출석에 맡기기로 하고 더 이상 거론하지 않기로 했는데 왜 자꾸 언론이 거론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3당 총무간에 일정한 양해가 됐다는 것이다.
또한 이 총무는 ‘정 의원이 지금까지도 약속하고 안 지키지 않았냐’는 거듭된 질문에 “기자가 무슨 검찰수사관이냐 뭐냐”며 대뜸 불쾌감을 드러냈다. 한나라당 입장에서는 정 의원 문제가 가급적 언론에 오르내리지 않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물론 정 의원 스스로 자진 출석해 당의 부담을 덜어주길 내심 기대하지만 이 또한 쉽지 않아 곤혹스런 입장이다.
자민련 이완구 총무 입장은 또 다르다. 우선 이재오 총무가 3당 총무간에 양해가 됐다는 발언을 한 것에 대해 “두 사람(이재오, 이상수 총무)간에 얘기를 했는지는 몰라도 나는 전혀 들어본 적이 없다”며 부인했다.
하지만 이 총무는 “일단 양당의 얘기 특히 한나라당측 얘기를 들어봐야 어떤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제한 뒤 “자진출석에 대한 확실한 보장만 있다면 굳이 체포동의안을 논의할 필요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처럼 정 의원 체포동의안에 대해 현재로서는 여야 3당 사이에 상당한 입장차이가 있다.
일단 19일 열릴 본회의가 첫 고비가 될 전망이다. 3당 총무는 18일 총무회담에서 이 문제에 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다. 현재로서는 정 의원이 성실히 재판에 임하겠다는 약속을 하고 체포동의안 처리를 미루는 쪽에 가장 무게가 실리고 있다.
결국 지난해 말 정 의원이 확약서까지 쓰면서 검찰의 체포동의 위기를 넘겼던 상황이 그대로 재현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국회법>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