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주식형.리츠 펀드 반토막 수준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 통상 장기투자의 기점이 되는 3년을 묻어뒀는데도 수익률이 마이너스인 한(恨)이 서린 펀드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5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으로 최근 3년간 수익률이 반 토막 난 펀드가 있을 정도로 심각한 펀드유형은 일본주식형 펀드(48개. 평균수익률 -41.58%)와 리츠펀드로 대변되는 해외부동산형 펀드(36개.-29.50%)로 나타났다.
해외주식형펀드 중 글로벌주식형(62개.-30.93%), 유럽주식형(34개.-26.77%)의 평균수익률이 부진한 상태이고,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해외커머더티(상품)형(26개.-24.91%) 펀드도 3년 수익률이 저조하다.
전문가들은 2006년 후반 이머징 증시가 하락하고, 일본 경제가 10년간 불황을 극복하는 듯 보이면서 인기를 끌었던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 펀드는 2007년 초 서브프라임 사태의 전조가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타격을 입었고 회복도 더뎌 여전히 반토막 상태라고 설명했다.
리츠펀드는 2002년부터 5년간 꾸준히 30%가 넘는 수익률을 내 고수익을 얻을 수있는 안정적인 펀드로 인기를 끌었지만 섹터로는 금융주에 포함되는 상장된 부동산에 투자하는 펀드이어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발생 이후 금융주와 동조화되면서 수익률이 악화일로를 면치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굿모닝신한증권 이계웅 펀드리서치팀장은 "거꾸로 투자해 `못난이 펀드''로 불리는 이들은 회복도 더디고 손실폭도 커 지금이라도 비중을 줄이고, 투자처를 바꿔 수익률을 높이는 게 좋을 것"이라며 "지금보다 나빠질 것 같지는 않지만 가파르게 수익률을 회복할 것으로 보이지도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일본주식형 펀드를 개별로 보면 투자 후 3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반토막인 펀드는 하나UBS자산운용의 하나UBS일본증권투자신탁 1[주식-재간접형] Class C(-53.36%), 프랭클린템플턴자산운용의 프랭클린템플턴재팬증권자투자신탁(A)(주식)(-53.24%)가 대표적이다.한국운용의 한국투자재판증권투자신탁1(주식-재간접형)(-46.83%)과 하나UBS 일본배당증권투자신탁(-46.26%), 미래에셋맵스오퍼튜니티재팬인덱스증권투자신탁1(주식-파생형)종류A(-44.30%) 등도 수익률이 부진했다.
해외부동산펀드 중 3년간 손실이 가장 큰 펀드는 한화운용의 한화라살글로벌리츠재간접 1(B)(-55.73%)였다. 골드만삭스운용의 골드만삭스글로벌리츠부동산투자신탁[재간접형] 종류A(-51.33%), 삼성운용의 삼성J-REITs부동산투자신탁 1[REITs-재간접형](B)(-40.20%)와 삼성Japan Property부동산투자신탁[REITs-재간접형](-47.68%)도 수익률이 안 좋기는 마찬가지였다.
이에 비해 국내 주식형 펀드 중 최근 3년간 수익률이 마이너스가 난 경우는 4개에 불과했다.
국내주식형펀드 중 3년간 손실이 가장 많이 난 펀드는 삼성운용의 삼성우량주장기증권투자신탁[주식](A)로 -5.77%를 기록했으며, 도이치운용의 도이치자벡스50혼합안정성장형 1(-2.53%)와 기은SG운용의 기은SG그랑프리포커스금융증권[주식](-2.40%), 푸르덴셜운용의 푸르덴셜나폴레옹주식 2-13(-0.42%)가 뒤를 이었다.
yulsid@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 통상 장기투자의 기점이 되는 3년을 묻어뒀는데도 수익률이 마이너스인 한(恨)이 서린 펀드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5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으로 최근 3년간 수익률이 반 토막 난 펀드가 있을 정도로 심각한 펀드유형은 일본주식형 펀드(48개. 평균수익률 -41.58%)와 리츠펀드로 대변되는 해외부동산형 펀드(36개.-29.50%)로 나타났다.
해외주식형펀드 중 글로벌주식형(62개.-30.93%), 유럽주식형(34개.-26.77%)의 평균수익률이 부진한 상태이고,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해외커머더티(상품)형(26개.-24.91%) 펀드도 3년 수익률이 저조하다.
전문가들은 2006년 후반 이머징 증시가 하락하고, 일본 경제가 10년간 불황을 극복하는 듯 보이면서 인기를 끌었던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 펀드는 2007년 초 서브프라임 사태의 전조가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타격을 입었고 회복도 더뎌 여전히 반토막 상태라고 설명했다.
리츠펀드는 2002년부터 5년간 꾸준히 30%가 넘는 수익률을 내 고수익을 얻을 수있는 안정적인 펀드로 인기를 끌었지만 섹터로는 금융주에 포함되는 상장된 부동산에 투자하는 펀드이어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발생 이후 금융주와 동조화되면서 수익률이 악화일로를 면치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굿모닝신한증권 이계웅 펀드리서치팀장은 "거꾸로 투자해 `못난이 펀드''로 불리는 이들은 회복도 더디고 손실폭도 커 지금이라도 비중을 줄이고, 투자처를 바꿔 수익률을 높이는 게 좋을 것"이라며 "지금보다 나빠질 것 같지는 않지만 가파르게 수익률을 회복할 것으로 보이지도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일본주식형 펀드를 개별로 보면 투자 후 3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반토막인 펀드는 하나UBS자산운용의 하나UBS일본증권투자신탁 1[주식-재간접형] Class C(-53.36%), 프랭클린템플턴자산운용의 프랭클린템플턴재팬증권자투자신탁(A)(주식)(-53.24%)가 대표적이다.한국운용의 한국투자재판증권투자신탁1(주식-재간접형)(-46.83%)과 하나UBS 일본배당증권투자신탁(-46.26%), 미래에셋맵스오퍼튜니티재팬인덱스증권투자신탁1(주식-파생형)종류A(-44.30%) 등도 수익률이 부진했다.
해외부동산펀드 중 3년간 손실이 가장 큰 펀드는 한화운용의 한화라살글로벌리츠재간접 1(B)(-55.73%)였다. 골드만삭스운용의 골드만삭스글로벌리츠부동산투자신탁[재간접형] 종류A(-51.33%), 삼성운용의 삼성J-REITs부동산투자신탁 1[REITs-재간접형](B)(-40.20%)와 삼성Japan Property부동산투자신탁[REITs-재간접형](-47.68%)도 수익률이 안 좋기는 마찬가지였다.
이에 비해 국내 주식형 펀드 중 최근 3년간 수익률이 마이너스가 난 경우는 4개에 불과했다.
국내주식형펀드 중 3년간 손실이 가장 많이 난 펀드는 삼성운용의 삼성우량주장기증권투자신탁[주식](A)로 -5.77%를 기록했으며, 도이치운용의 도이치자벡스50혼합안정성장형 1(-2.53%)와 기은SG운용의 기은SG그랑프리포커스금융증권[주식](-2.40%), 푸르덴셜운용의 푸르덴셜나폴레옹주식 2-13(-0.42%)가 뒤를 이었다.
yulsid@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