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 금융감독원이 최근 급증하는 주택담보대출 억제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금감원 관계자는 25일 "시중은행에 하반기 월별 주택담보대출 계획을 제출하도록 했다"며 "주택담보대출이 과도하게 늘어나지 않도록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22일 시중은행 부행장을 소집해 주택담보대출이 늘어난 원인과 전망, 부동산시장 동향 등을 논의했다.
정부도 지난 2월 이후 월평균 3조 원 수준의 증가세를 보이는 주택담보대출을 옥죄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발표한 하반기 경제운용 방향에서 "최근 증가 추세가 이어지는 주택담보대출로 인해 시장 불안이 우려되면 대출기준 강화 등 선제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부동산의 경우 일부 가격 오름세가 있고 주택담보 대출이 늘고 있지만 이게 모두 부동산 투기로 연결되지는 않는다"면서 "필요하다면 총량 규제도 할 수 있으며 총부채상환비율(DTI), 주택담보인정비율(LTV) 등의 제한도 검토할 수 있지만 현 단계는 그럴 상황이 아니다"고 말했다.
hojun@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금감원 관계자는 25일 "시중은행에 하반기 월별 주택담보대출 계획을 제출하도록 했다"며 "주택담보대출이 과도하게 늘어나지 않도록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22일 시중은행 부행장을 소집해 주택담보대출이 늘어난 원인과 전망, 부동산시장 동향 등을 논의했다.
정부도 지난 2월 이후 월평균 3조 원 수준의 증가세를 보이는 주택담보대출을 옥죄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발표한 하반기 경제운용 방향에서 "최근 증가 추세가 이어지는 주택담보대출로 인해 시장 불안이 우려되면 대출기준 강화 등 선제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부동산의 경우 일부 가격 오름세가 있고 주택담보 대출이 늘고 있지만 이게 모두 부동산 투기로 연결되지는 않는다"면서 "필요하다면 총량 규제도 할 수 있으며 총부채상환비율(DTI), 주택담보인정비율(LTV) 등의 제한도 검토할 수 있지만 현 단계는 그럴 상황이 아니다"고 말했다.
hojun@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