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11일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2.00%로 유지했다. 한은은 이날 오전 정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이렇게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한은의 금리동결은 지난 3월, 4월, 5월에 이어 4개월째다. 한은은 5.25%였던 기준금리를 지난 10월부터 매달 인하해 지난 2월에는 사상 최저수준인 2.00%까지 낮췄다.
이번 금리동결은 경기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일부 경제지표가 전월대비로 나아지고는 있지만 이를 경기회복의 뚜렷한 신호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이야기다. 기준금리를 잘못 올려 유동성 흡수가 시작되면 자칫 경기회복의 싹을 잘라내 더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통계청의 4월 산업활동 통계에서 광공업 생산은 전월보다 2.6% 늘었으나 작년 같은 달보다 8.2% 줄어드는 등 여전히 부진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이 한은의 진단이다.
지난 1분기에 국내총생산(GDP)이 전기대비 0.1%로 플러스를 유지한 것도 정부의 공격적인 재정지출 확대에 따른 것으로 한은은 보고 있다. 한은은 정부의 재정지출이 없었다면 전기대비 0.6% 줄어든 것으로 계산된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5월 취업자 수는 2372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1만9000명(-0.9%) 줄어 고용사정 악화도 여전하다. 이는 지난 1999년 3월 -39만명을 기록한 이래 가장 큰 폭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경기가 2분기에 상승하더라도 일시적으로 나아진 후 다시 하강하는 ‘더블 딥’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최근 국제유가가 상승하고 있으나 경기회복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은 우려할만한 수준이 아니라는 점도 이번 금리동결의 또다른 요인이다. 한은 관계자는 “일부 부동산시장에 부동자금이 몰리고 있으나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확대가 물가를 끌어올리는 단계에는 이르지 않았다”면서 “경기가 상승세로 접어들었다고 확신할 수 없고 인플레이션은 걱정할 만큼 심각한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기준금리를 동결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금융시장의 관심은 한은이 금리인상에 나설 시기로 옮겨가 있다. 전문가들은 3분기부터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논의가 시작돼 빠르면 4분기, 늦으면 내년 1분기에나 한은이 금리인상을 단행, 유동성을 거둬들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 장민 거시경제연구실장은 “조급한 금리인상은 경기 회복을 해칠 수 있다”며 “8~9월부터 통화정책 방향을 내비치는 신호를 시장에 전달하고 4분기에 회복 기조에 대한 공감대가 이뤄지면 연말께 인상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