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1순위 저축총액 평균 418만원
평균 3년 6개월 불입 … 수도권 평균은 443만원
현재 청약저축 가입자중 1순위 자격을 갖춘 구좌의 평균 저축총액은 418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월 최고 납입한도인 10만원을 붙입했을 경우를 가정해 보면 3년 6개월간 꾸준히 통장에 저축해야 가능한 금액이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2009년 4월 말 현재 전국 청약저축 가입자 중 1순위 요건을 갖춘 131만9675좌를 분석한 결과 전국 평균 청약저축 총액이 418만원으로 조사됐다. 지역별 평균은 수도권 443만원, 5대광역시 351만원, 기타지역 370만원이고, 수도권에서는 경기도가 450만원으로 저축총액 평균 금액이 가장 많았다.
주로 공공이 공급하는 전용면적 85㎡이하 주택에 청약할 때 사용하는 청약저축 통장은 매월 2만~1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고, 2년이 경과된 계좌로, 매월 약정납입금을 24회 이상 납입하면 1순위 자격이 된다.
국민주택형인 전용면적 85㎡ 등의 주택 당첨은 납입횟수보다 저축총액이 동일순위 경쟁에서 우선시 된다. 서울 442만원, 경기 450만원, 인천 414만원이다. 5대 광역시는 평균이 351만원이고, 부산광역시 333만원, 대구광역시 361만원, 광주광역시 351만원, 대전광역시 363만원, 울산광역시 354만원이다. 지역별로는 강원도 380만원, 충청북도 358만원, 충청남도 375만원, 전라북도 360만원, 전라남도 375만원, 경상북도 362만원, 경상남도 373만원, 제주도 374만원이다.
지역별 청약저축 총액의 평균이 450만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경기도는 시, 군별 평균금액은 성남시가 514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과천시 513만원, 광명시 495만원 순이다. 반면 안성시는 390만원으로 저축총액 평균이 금액이 가장 적었고, 이천시 391만원, 양평군 392만원 순이다.
나인성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순차제가 이어지고 있는 청약저축제도에서는 유망지역의 경우 경쟁이 치열하고 저축총액이 당락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며 “월 최고 납입한도가 10만원으로 제한적인 청약저축은 기존 저축총액이 많은 수요자들을 역전하기가 쉽지 않아 본인이 희망하는 지역의 공급물량, 예상 커트라인 등을 꼼꼼히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평균 3년 6개월 불입 … 수도권 평균은 443만원
현재 청약저축 가입자중 1순위 자격을 갖춘 구좌의 평균 저축총액은 418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월 최고 납입한도인 10만원을 붙입했을 경우를 가정해 보면 3년 6개월간 꾸준히 통장에 저축해야 가능한 금액이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2009년 4월 말 현재 전국 청약저축 가입자 중 1순위 요건을 갖춘 131만9675좌를 분석한 결과 전국 평균 청약저축 총액이 418만원으로 조사됐다. 지역별 평균은 수도권 443만원, 5대광역시 351만원, 기타지역 370만원이고, 수도권에서는 경기도가 450만원으로 저축총액 평균 금액이 가장 많았다.
주로 공공이 공급하는 전용면적 85㎡이하 주택에 청약할 때 사용하는 청약저축 통장은 매월 2만~1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고, 2년이 경과된 계좌로, 매월 약정납입금을 24회 이상 납입하면 1순위 자격이 된다.
국민주택형인 전용면적 85㎡ 등의 주택 당첨은 납입횟수보다 저축총액이 동일순위 경쟁에서 우선시 된다. 서울 442만원, 경기 450만원, 인천 414만원이다. 5대 광역시는 평균이 351만원이고, 부산광역시 333만원, 대구광역시 361만원, 광주광역시 351만원, 대전광역시 363만원, 울산광역시 354만원이다. 지역별로는 강원도 380만원, 충청북도 358만원, 충청남도 375만원, 전라북도 360만원, 전라남도 375만원, 경상북도 362만원, 경상남도 373만원, 제주도 374만원이다.
지역별 청약저축 총액의 평균이 450만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경기도는 시, 군별 평균금액은 성남시가 514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과천시 513만원, 광명시 495만원 순이다. 반면 안성시는 390만원으로 저축총액 평균이 금액이 가장 적었고, 이천시 391만원, 양평군 392만원 순이다.
나인성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순차제가 이어지고 있는 청약저축제도에서는 유망지역의 경우 경쟁이 치열하고 저축총액이 당락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며 “월 최고 납입한도가 10만원으로 제한적인 청약저축은 기존 저축총액이 많은 수요자들을 역전하기가 쉽지 않아 본인이 희망하는 지역의 공급물량, 예상 커트라인 등을 꼼꼼히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