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세무조사 정치공세 무용론 편 한나라당 이부영 부총재
“소모적 논쟁 중단, 정치 본연 역할 찾자 ”
지역내일
2001-07-03
(수정 2001-07-03 오후 3:35:59)
“언론사 세무조사가 정부여당의 언론 길들이기냐 아니냐는 것은 아무리 논쟁을 해도 결론을 낼 수 없다. 소모적인 논쟁은 중단하고 정치권 앞에 놓여진 중요한 현안 문제로 관심을 돌려야 한다.”
2일 화해와 전진 포럼 수련회에 참석한 한나라당 이부영 부총재는 언론사 세무조사를 둘러싼 정치권 공방 무용론을 제기했다. 또한 언론사와 사주의 위법 여부는 법에 맡기고 정치적 의혹에 대해서는 검찰수사 이후 국정조사를 통해 가름하자고 주장했다.
이 부총재의 이 같은 주장은 강경대응을 고수하고 있는 한나라당의 당론과 상반되는 것이어서 관심을 끌고 있다.
이에 대해 이 부총재는 “당론을 떠나 동아투위 위원으로서 오랫동안 언론에 대해 고민해온 소신”이라며 “감정보다 절제된 언어와 냉철한 자세로 이번 사태에 대처할 때 뭔가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충고했다.
이 부총재는 한나라당이 언론사 세무조사를 김정일 답방 사전정지 작업으로 보는 것에 대해서도 “김정일 답방과 지역감정 타파를 원하는 국민들의 반발을 고려해야 한다”며 “색깔론과 지역문제는 넘지 말아야할 선”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회창 총재가 김정일 답방과 언론문제 연계를 색깔론으로 보긴 어렵다고 밝힌 것에 대해 정반대의 주장을 펴고 나선 것이다.
한편 이 부총재는 정부에 대해 “대통령이 사전에 언론문제를 언급한 후 세무조사가 이뤄졌다는 면에서 보면 불순한 의도로 비칠 소지가 있다”고 비판했지만 “언론사가 사주를 위해 봉사해온 것도 숨길 수 없는 사실”이라며 양비론적 입장을 보였다.
이 부총재는 “주요 민생현안을 외면해 국민들이 피해를 입는 만큼 이번 사태에서 언론 발전을 위한 교훈과 제도적 성과를 얻어야 한다”며 “언론사 편집권 독립을 위해 <정간법> 개정을 추진하고 세무조사를 정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정간법>
2일 화해와 전진 포럼 수련회에 참석한 한나라당 이부영 부총재는 언론사 세무조사를 둘러싼 정치권 공방 무용론을 제기했다. 또한 언론사와 사주의 위법 여부는 법에 맡기고 정치적 의혹에 대해서는 검찰수사 이후 국정조사를 통해 가름하자고 주장했다.
이 부총재의 이 같은 주장은 강경대응을 고수하고 있는 한나라당의 당론과 상반되는 것이어서 관심을 끌고 있다.
이에 대해 이 부총재는 “당론을 떠나 동아투위 위원으로서 오랫동안 언론에 대해 고민해온 소신”이라며 “감정보다 절제된 언어와 냉철한 자세로 이번 사태에 대처할 때 뭔가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충고했다.
이 부총재는 한나라당이 언론사 세무조사를 김정일 답방 사전정지 작업으로 보는 것에 대해서도 “김정일 답방과 지역감정 타파를 원하는 국민들의 반발을 고려해야 한다”며 “색깔론과 지역문제는 넘지 말아야할 선”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회창 총재가 김정일 답방과 언론문제 연계를 색깔론으로 보긴 어렵다고 밝힌 것에 대해 정반대의 주장을 펴고 나선 것이다.
한편 이 부총재는 정부에 대해 “대통령이 사전에 언론문제를 언급한 후 세무조사가 이뤄졌다는 면에서 보면 불순한 의도로 비칠 소지가 있다”고 비판했지만 “언론사가 사주를 위해 봉사해온 것도 숨길 수 없는 사실”이라며 양비론적 입장을 보였다.
이 부총재는 “주요 민생현안을 외면해 국민들이 피해를 입는 만큼 이번 사태에서 언론 발전을 위한 교훈과 제도적 성과를 얻어야 한다”며 “언론사 편집권 독립을 위해 <정간법> 개정을 추진하고 세무조사를 정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정간법>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