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중 은행계정 수신은 단기예금을 중심으로 7조9천330억원이 늘어나 전월(5조9367억원)에 비해 증가폭이 확대됐다.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6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년이상 정기예금이 1310억원 줄어든 반면 6개월 미만 정기예금은 5312억원, 수시입출식예금은 5조2906억원, 양도성예금증서(CD) 등 단기시장성 수신은 1조6513억원이 늘어 시중자금의 단기부동화 양상이 지속됐다.
투신사 수신은 반기결산을 앞두고 기업의 차입금 상환 등을 위한 머니마켓펀드(MMF) 예치금 인출 등으로 1조원 증가에 머물러 전월실적(3조1000억원 증가)을 밑돌았으나 계절적 요인을 감안할 경우 착실한 회복세를 유지한 것으로 한은은 보고있다.
은행신탁수탁액은 특정금전신탁의 신장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추가금전신탁 만기도래자금의 인출이 줄어들면서 월중 4000억원 감소해 전월(-1조5000억원)보다 감소폭이 줄었다.
종금사 수신도 월중 1조원 줄었다.
한편 하반기 만기도래 증가에 대비한 기업의 선발행 수요로 회사채 순발행 규모가 지난달 급증한 반면 기업어음(CP) 발행잔액은 월말 기업들의 부채비율 관리를 위한 상환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법정관리, 화의 및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기업을 제외한 일반기업의 회사채 순발행은 하반기 만기도래 증가에 대비한 기업의 선발행 수요와 국고채 등 무위험채권 수익률 하락에 따른 금융기관의 대체투자수요가 맞물리면서 2조7874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한은은 밝혔다. 5월 순발행은 1조3863원이었다.
CP 발행잔액은 투신사 등의 단기수신 운용을 위한 매입수요 지속으로 증가추세를 보이다 월말께 부채비율 관리를 위한 기업의 CP 상환, 은행의 자금인출 등에 따른 투신사·종금사 CP 보유규모 감축 등으로 월전체로는 1조6788억원이 감소했다.
기업의 긴급자금 수요를 나타내는 당촤대출한도 소진율은 전월(15.8%)에 비해 더욱 하락한 14.5%를 기록했다.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6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년이상 정기예금이 1310억원 줄어든 반면 6개월 미만 정기예금은 5312억원, 수시입출식예금은 5조2906억원, 양도성예금증서(CD) 등 단기시장성 수신은 1조6513억원이 늘어 시중자금의 단기부동화 양상이 지속됐다.
투신사 수신은 반기결산을 앞두고 기업의 차입금 상환 등을 위한 머니마켓펀드(MMF) 예치금 인출 등으로 1조원 증가에 머물러 전월실적(3조1000억원 증가)을 밑돌았으나 계절적 요인을 감안할 경우 착실한 회복세를 유지한 것으로 한은은 보고있다.
은행신탁수탁액은 특정금전신탁의 신장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추가금전신탁 만기도래자금의 인출이 줄어들면서 월중 4000억원 감소해 전월(-1조5000억원)보다 감소폭이 줄었다.
종금사 수신도 월중 1조원 줄었다.
한편 하반기 만기도래 증가에 대비한 기업의 선발행 수요로 회사채 순발행 규모가 지난달 급증한 반면 기업어음(CP) 발행잔액은 월말 기업들의 부채비율 관리를 위한 상환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법정관리, 화의 및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기업을 제외한 일반기업의 회사채 순발행은 하반기 만기도래 증가에 대비한 기업의 선발행 수요와 국고채 등 무위험채권 수익률 하락에 따른 금융기관의 대체투자수요가 맞물리면서 2조7874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한은은 밝혔다. 5월 순발행은 1조3863원이었다.
CP 발행잔액은 투신사 등의 단기수신 운용을 위한 매입수요 지속으로 증가추세를 보이다 월말께 부채비율 관리를 위한 기업의 CP 상환, 은행의 자금인출 등에 따른 투신사·종금사 CP 보유규모 감축 등으로 월전체로는 1조6788억원이 감소했다.
기업의 긴급자금 수요를 나타내는 당촤대출한도 소진율은 전월(15.8%)에 비해 더욱 하락한 14.5%를 기록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