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토지이용 규제완화 정책으로 올 상반기에만 서울의 18배 크기에 해당하는 땅이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풀렸다.
특히 충청남·북도와 경기도, 전라남도의 땅이 대거 허가구역에서 해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전국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곳은 총 8318.37㎢로 작년 말과 비교하면 1만772.13㎢나 줄었다.
서울 면적이 605.33㎢인 점을 고려하면 서울의 17.8배에 해당하는 땅이 허가구역에서 풀린 셈이다. 전 국토에서 차지하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의 비율은 작년 말 19.08%였으나 지난달 말에는 8.3%로 뚝 떨어졌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제는 투기를 막기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땅을 거래할 때 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를 받도록 하고 거래 후 일정 기간에 허가받은 목적대로만 이용하도록 하는 제도다. 올 상반기에 토지거래허가구역이 가장 많이 감소한 광역 시·도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이 추진된 충남도로, 5862.2㎢(5941.7㎢ → 79.5㎢)가 해제됐다.
충북도는 허가구역이 1146.11㎢에서 111.0㎢로 축소되면서 1035.11㎢가 허가구역에서 벗어났고, 경기도는 안성시, 안산시, 포천시, 동두천시를 중심으로 1191.08㎢(5546.14㎢ → 4355.06㎢)가 해제됐다. 전남도는 해남군 영암군 신안군 함평군 나주시 등을 중심으로 1675.7㎢가 허가구역에서 풀리면서 전체 허가구역은 2105.3㎢에서 429.6㎢로 감소했다.
6월 말 기준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이 가장 넓은 시·도는 경기(4355.06㎢), 인천(482.38㎢), 경남(459.62㎢), 전남(429.5㎢), 경북(418.62㎢), 대구(417.06㎢)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 관계자는 올 하반기에도 토지이용 규제를 완화하는 기조를 이어갈 방침이라고 말해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풀리는 지역이 계속 늘어날 것임을 시사했다.
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특히 충청남·북도와 경기도, 전라남도의 땅이 대거 허가구역에서 해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전국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곳은 총 8318.37㎢로 작년 말과 비교하면 1만772.13㎢나 줄었다.
서울 면적이 605.33㎢인 점을 고려하면 서울의 17.8배에 해당하는 땅이 허가구역에서 풀린 셈이다. 전 국토에서 차지하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의 비율은 작년 말 19.08%였으나 지난달 말에는 8.3%로 뚝 떨어졌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제는 투기를 막기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땅을 거래할 때 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를 받도록 하고 거래 후 일정 기간에 허가받은 목적대로만 이용하도록 하는 제도다. 올 상반기에 토지거래허가구역이 가장 많이 감소한 광역 시·도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이 추진된 충남도로, 5862.2㎢(5941.7㎢ → 79.5㎢)가 해제됐다.
충북도는 허가구역이 1146.11㎢에서 111.0㎢로 축소되면서 1035.11㎢가 허가구역에서 벗어났고, 경기도는 안성시, 안산시, 포천시, 동두천시를 중심으로 1191.08㎢(5546.14㎢ → 4355.06㎢)가 해제됐다. 전남도는 해남군 영암군 신안군 함평군 나주시 등을 중심으로 1675.7㎢가 허가구역에서 풀리면서 전체 허가구역은 2105.3㎢에서 429.6㎢로 감소했다.
6월 말 기준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이 가장 넓은 시·도는 경기(4355.06㎢), 인천(482.38㎢), 경남(459.62㎢), 전남(429.5㎢), 경북(418.62㎢), 대구(417.06㎢)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 관계자는 올 하반기에도 토지이용 규제를 완화하는 기조를 이어갈 방침이라고 말해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풀리는 지역이 계속 늘어날 것임을 시사했다.
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