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쌍용차에 공권력 투입안돼”
대규모 인명피해 우려 … 경찰 진압컨테이너 배치
참여연대 등 24개 시민단체들은 22일 “쌍용차 평택공장에 공권력을 투입해 노동자를 진압해선 안된다”며 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이날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평택공장 내에는 다량의 인화물질이 있어 무리한 진압 작전은 지난 1월의 ‘용산참사’처럼 대규모 인명 피해를 낼 수 있다”며 "정부는 노사간 대화를 주선하고 중재를 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정부는 법원이 쌍용차의 회생 여부를 판단한 이후에 국가 지원을 결정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그러나 이 사태는 ''전체 경제에서 일자리를 지키고 나눌 수 있느냐''를 정하는 문제인 만큼 최대한 빨리 국가가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속노조 조합원 2000여명도 오후 3시부터 평택역 앞에서 쌍용차 공장에 대한 공권력 투입 중단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연 뒤 쌍용차 공장 부근까지 도보로 행진했다.
경찰은 이들의 공장 진입을 차단하기 위해 1000여명을 진입 도로 등에 배치했고 노조원 9명을 연행했으나 금속노조는 큰 충돌 없이 해산했다.
그러나 조합원 중 일부는 경찰이 집결해 있는 평택 공설운동장으로 몰려가 최루액을 빼앗으며 항의하다 이 중 30명이 연행됐다.
또 보건의료단체연합은 공장 정문 앞에서 ‘쌍용차 의료지원 불허 및 의약품 반입금지에 대한 항의 기자회견’을 연 뒤 공장 진입을 시도하다 소속 의사 2명이 경찰에 연행됐다.
한편 경찰은 이날 특수 제작된 시위 진압용 컨테이너와 경찰특공대원 100여명을 공장 내부에 배치한 가운데 공장 내의 부자재창고 등 시설물 추가 확보에 나섰으나 노조원의 저항에 부딪혀 실패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 8명과 노조원 5명이 부상을 입었다.
고병수 기자 연합뉴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대규모 인명피해 우려 … 경찰 진압컨테이너 배치
참여연대 등 24개 시민단체들은 22일 “쌍용차 평택공장에 공권력을 투입해 노동자를 진압해선 안된다”며 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이날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평택공장 내에는 다량의 인화물질이 있어 무리한 진압 작전은 지난 1월의 ‘용산참사’처럼 대규모 인명 피해를 낼 수 있다”며 "정부는 노사간 대화를 주선하고 중재를 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정부는 법원이 쌍용차의 회생 여부를 판단한 이후에 국가 지원을 결정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그러나 이 사태는 ''전체 경제에서 일자리를 지키고 나눌 수 있느냐''를 정하는 문제인 만큼 최대한 빨리 국가가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속노조 조합원 2000여명도 오후 3시부터 평택역 앞에서 쌍용차 공장에 대한 공권력 투입 중단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연 뒤 쌍용차 공장 부근까지 도보로 행진했다.
경찰은 이들의 공장 진입을 차단하기 위해 1000여명을 진입 도로 등에 배치했고 노조원 9명을 연행했으나 금속노조는 큰 충돌 없이 해산했다.
그러나 조합원 중 일부는 경찰이 집결해 있는 평택 공설운동장으로 몰려가 최루액을 빼앗으며 항의하다 이 중 30명이 연행됐다.
또 보건의료단체연합은 공장 정문 앞에서 ‘쌍용차 의료지원 불허 및 의약품 반입금지에 대한 항의 기자회견’을 연 뒤 공장 진입을 시도하다 소속 의사 2명이 경찰에 연행됐다.
한편 경찰은 이날 특수 제작된 시위 진압용 컨테이너와 경찰특공대원 100여명을 공장 내부에 배치한 가운데 공장 내의 부자재창고 등 시설물 추가 확보에 나섰으나 노조원의 저항에 부딪혀 실패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 8명과 노조원 5명이 부상을 입었다.
고병수 기자 연합뉴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