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하반기 경제회복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제시하면서 당분간 확장적 거시정책 기조를 유지할 것임을 강조했다.
기획재정부는 6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을 통해 “재정여력이 축소되는 하반기에도 최근의 회복세가 지속될 지 불확실하다”며 섣부른 출구전략을 쓰기 않을 것임을 강하게 시사했다.
재정부는 “전반적인 경기 회복흐름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면서도 “경기상황을 면밀히 점검해 민간의 자생력에 의한 회복이 가시화될 때까지 확장적 거시정책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재정부가 경기 회복에 대한 확신을 가지지 못하는 데는 위기 이전수준에 못 미치는 경제지표들과 선진 금융시장의 부실 가능성 등 불안한 대외변수 때문이다.
재정부는 “자동차세 지원, 재정조기집행 등 일시적 요인과 소비 투자심리 회복 등에 힘입어 2분기 실물지표가 예상보다 빠르게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면서 “다만 대부분 지표들이 아직 위기이전 수준을 회복하지는 못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금융시장이 주가 상승, 환율 하락 등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선진국 금융기관의 부실확대 가능성 등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요인이 상존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재정부는 “일자리 창출, 서민생활 안정, 소비와 투자활성화 대책 등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면서 “부동산 등 불안요인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기획재정부는 6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을 통해 “재정여력이 축소되는 하반기에도 최근의 회복세가 지속될 지 불확실하다”며 섣부른 출구전략을 쓰기 않을 것임을 강하게 시사했다.
재정부는 “전반적인 경기 회복흐름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면서도 “경기상황을 면밀히 점검해 민간의 자생력에 의한 회복이 가시화될 때까지 확장적 거시정책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재정부가 경기 회복에 대한 확신을 가지지 못하는 데는 위기 이전수준에 못 미치는 경제지표들과 선진 금융시장의 부실 가능성 등 불안한 대외변수 때문이다.
재정부는 “자동차세 지원, 재정조기집행 등 일시적 요인과 소비 투자심리 회복 등에 힘입어 2분기 실물지표가 예상보다 빠르게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면서 “다만 대부분 지표들이 아직 위기이전 수준을 회복하지는 못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금융시장이 주가 상승, 환율 하락 등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선진국 금융기관의 부실확대 가능성 등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요인이 상존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재정부는 “일자리 창출, 서민생활 안정, 소비와 투자활성화 대책 등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면서 “부동산 등 불안요인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