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범관 의원은 6월 22일 다문화가정의 학부모들이 자녀교육에서 겪는 어려움을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로 경청했다(내일신문 7월10일자 기획1 기사 참조). 농촌지역의 학부모들은 한국어를 제대로 몰라 아이들과 의사소통이 안되는 점을 큰 어려움으로 꼽았고, 도시지역 부모들은 문화적 거리감을 좁힐 방법을 고민했다.
이 의원은 7월10일 정부와 일선 교육청의 전문가들을 국회로 초청하여 학부모들의 목소리를 전하면서 그 해법을 구했다.
교육과학기술부 이상진 국장과 경기도 교육청 최석렬 장학관, 경기 이천 교육청 이명자 교육장, 여주교육청 김성수 교육장, 안산 김양옥 교육장과 남양주시 용신초등학교 김영신 교장과 안산 외국인 주민센터 김창모 소장 등이 머리를 맞댔다.
전문가들의 의견은 하나로 모아졌다. 정부부처에 전담부서를 두어야 한다는 것과 교육현장에 전담교사를 배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먼저 이상진 교육복지국장은 “다문화 교육문제가 이슈가 되기 시작한 것이 2년 전부터”라면서 “정부는 지난해말 4개년 계획을 세워 추진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교육은 자치시스템이어서 중앙정부보다 지방정부의 자체 정책추진이 더 많다”면서 중앙정부차원의 대책마련에 어려움을 털어놨다. 이에 김창모 안산외국인센터 소장이 “정부차원의 정책추진이 이뤄지려면 전담부서가 있어야 한다”고 제기했다.
이 국장은 “교육부에 전담부서를 두어도 전국적인 인프라가 없다” “부처 내부에 전담인력을 늘이는 문제도 쉽지가 않다”고 말해 중앙부처 차원의 어려움을 털어놨다. 경기도 최석렬 장학관은 “시도별로 담당부서가 다르고 업무부담이 커서 전담부서를 두기가 어려운 실정”이라면서 지방교육청의 처지를 털어놨다.
이명자 이천 교육장은 “부처별 연계가 잘 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고, 김양옥 안산교육장이 “다문화 자녀교육을 총괄할 핵심부서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모았다. 지방교육청이 중앙부처의 전담부서 운영을 계속 요구하자 이상진 교육복지국장은 “성남 다문화센터를 방문했는데 지역차원에서 시민단체와 학교 지자체가 협조가 안되고 있더라. 이게 더 선결되어야할 문제 아니냐”고 반론을 펴기도 했다.
전문가들이 전담부서를 두는 문제를 놓고 설왕설래하자 이범관 의원은 “정부에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을 전담할 콘트롤타워가 없다는 건 큰 문제”라면서 “부처간 종합대책회의가 안되고 있는데 교육과학기술부가 위원장을 맡아 핵심역할을 해야 한다”는 방안으로 의견을 종합했다.
더욱 시급한 것은 교육현장의 전담교사 부재였다. 김양옥 안산교육장은 “일반적으로 다른 학급 담임을 겸해서 맡고 있으며 다문화자녀를 전담하는 교사는 없다”면서 “전담교사제를 도입하는 것이 가장 급하다”고 말했다.
김 교육장은 “한 초등학교에서 중국인 보조교사를 두어 다문화자녀를 돕도록 했는데 과로로 쓰러지는 일까지 생겼다”면서 “다문화자녀가 포함된 학급의 담임이 전근 가버리면 다른 선생님들이 맨땅에서 헤딩하듯이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면서 전담교사제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명자 이천 교육장도 “관내에 다문화학생이 다니는 학교가 31개교인데 전담교사를 두고 있는 학교는 없다”면서 “엄마가 아이들과 한국말로 의사소통이 잘 안되는데 전담교사가 방과 후에 가정을 방문하여 엄마와 아이, 그리고 고부간의 갈등에도 좋은 매개역할을 할 수 있도록 활동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재미있는 반론도 나왔다. 전담교사가 가정방문을 하는 것은 엉뚱한 문제를 부를 수 있다는 것이다. 김성수 여주교육장은 “시부모들이 젊은 선생님과 외국인 며느리가 방안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장면을 좋아하지 않는다”며 “정년퇴임한 교사들을 다문화가정의 멘토로 활용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얘기했다.
김영신 용신초 교장은 전담교사 도입의 시급성에 대해 “현재 다문화가족이 120만명인데 다문화사회 진입기준인 인구의 5%인 250만명이 되는 것은 금세 닥칠 일”이라면서 “우리말이 서투르다는 이유로 이런 가정의 어머니들이 노예취급을 받는 채로 다문화사회에 진입하는 것은 크나큰 문제를 안고 가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장은 전담교사 육성의 방법으로 “교사들의 연수교육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우리 교육내용에 다문화사회에 대한 이해가 대폭 강화되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성수 교육장은 “다문화교육은 다문화가정의 자녀만이 대상이 아니라 일반학생에게도 폭넓게 이뤄져서 전 국민이 우리 이웃으로 그들을 받아들이도록 만드는게 근본적인 교육대책”이라면서 “교육과정에 다문화관련 내용을 정식으로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영신 교장은 “우리 학교에서는 2007년 교과과정부터 이를 포함시켜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의 조언을 들은 이범관 의원은 “다문화자녀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처방이 빨리 체계화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에서 전담부서 설치와 전담교사도입 문제에 대해 정책화될 수 있는 길을 찾겠다”고 답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이 의원은 7월10일 정부와 일선 교육청의 전문가들을 국회로 초청하여 학부모들의 목소리를 전하면서 그 해법을 구했다.
교육과학기술부 이상진 국장과 경기도 교육청 최석렬 장학관, 경기 이천 교육청 이명자 교육장, 여주교육청 김성수 교육장, 안산 김양옥 교육장과 남양주시 용신초등학교 김영신 교장과 안산 외국인 주민센터 김창모 소장 등이 머리를 맞댔다.
전문가들의 의견은 하나로 모아졌다. 정부부처에 전담부서를 두어야 한다는 것과 교육현장에 전담교사를 배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먼저 이상진 교육복지국장은 “다문화 교육문제가 이슈가 되기 시작한 것이 2년 전부터”라면서 “정부는 지난해말 4개년 계획을 세워 추진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교육은 자치시스템이어서 중앙정부보다 지방정부의 자체 정책추진이 더 많다”면서 중앙정부차원의 대책마련에 어려움을 털어놨다. 이에 김창모 안산외국인센터 소장이 “정부차원의 정책추진이 이뤄지려면 전담부서가 있어야 한다”고 제기했다.
이 국장은 “교육부에 전담부서를 두어도 전국적인 인프라가 없다” “부처 내부에 전담인력을 늘이는 문제도 쉽지가 않다”고 말해 중앙부처 차원의 어려움을 털어놨다. 경기도 최석렬 장학관은 “시도별로 담당부서가 다르고 업무부담이 커서 전담부서를 두기가 어려운 실정”이라면서 지방교육청의 처지를 털어놨다.
이명자 이천 교육장은 “부처별 연계가 잘 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고, 김양옥 안산교육장이 “다문화 자녀교육을 총괄할 핵심부서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모았다. 지방교육청이 중앙부처의 전담부서 운영을 계속 요구하자 이상진 교육복지국장은 “성남 다문화센터를 방문했는데 지역차원에서 시민단체와 학교 지자체가 협조가 안되고 있더라. 이게 더 선결되어야할 문제 아니냐”고 반론을 펴기도 했다.
전문가들이 전담부서를 두는 문제를 놓고 설왕설래하자 이범관 의원은 “정부에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을 전담할 콘트롤타워가 없다는 건 큰 문제”라면서 “부처간 종합대책회의가 안되고 있는데 교육과학기술부가 위원장을 맡아 핵심역할을 해야 한다”는 방안으로 의견을 종합했다.
더욱 시급한 것은 교육현장의 전담교사 부재였다. 김양옥 안산교육장은 “일반적으로 다른 학급 담임을 겸해서 맡고 있으며 다문화자녀를 전담하는 교사는 없다”면서 “전담교사제를 도입하는 것이 가장 급하다”고 말했다.
김 교육장은 “한 초등학교에서 중국인 보조교사를 두어 다문화자녀를 돕도록 했는데 과로로 쓰러지는 일까지 생겼다”면서 “다문화자녀가 포함된 학급의 담임이 전근 가버리면 다른 선생님들이 맨땅에서 헤딩하듯이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면서 전담교사제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명자 이천 교육장도 “관내에 다문화학생이 다니는 학교가 31개교인데 전담교사를 두고 있는 학교는 없다”면서 “엄마가 아이들과 한국말로 의사소통이 잘 안되는데 전담교사가 방과 후에 가정을 방문하여 엄마와 아이, 그리고 고부간의 갈등에도 좋은 매개역할을 할 수 있도록 활동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재미있는 반론도 나왔다. 전담교사가 가정방문을 하는 것은 엉뚱한 문제를 부를 수 있다는 것이다. 김성수 여주교육장은 “시부모들이 젊은 선생님과 외국인 며느리가 방안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장면을 좋아하지 않는다”며 “정년퇴임한 교사들을 다문화가정의 멘토로 활용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얘기했다.
김영신 용신초 교장은 전담교사 도입의 시급성에 대해 “현재 다문화가족이 120만명인데 다문화사회 진입기준인 인구의 5%인 250만명이 되는 것은 금세 닥칠 일”이라면서 “우리말이 서투르다는 이유로 이런 가정의 어머니들이 노예취급을 받는 채로 다문화사회에 진입하는 것은 크나큰 문제를 안고 가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장은 전담교사 육성의 방법으로 “교사들의 연수교육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우리 교육내용에 다문화사회에 대한 이해가 대폭 강화되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성수 교육장은 “다문화교육은 다문화가정의 자녀만이 대상이 아니라 일반학생에게도 폭넓게 이뤄져서 전 국민이 우리 이웃으로 그들을 받아들이도록 만드는게 근본적인 교육대책”이라면서 “교육과정에 다문화관련 내용을 정식으로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영신 교장은 “우리 학교에서는 2007년 교과과정부터 이를 포함시켜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의 조언을 들은 이범관 의원은 “다문화자녀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처방이 빨리 체계화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에서 전담부서 설치와 전담교사도입 문제에 대해 정책화될 수 있는 길을 찾겠다”고 답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