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땅값이 4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특히 7월 땅값 상승률이 올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토해양부는 26일 7월 전국 땅값은 전달 대비 0.21% 오르며 올들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전국 땅값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지난해 11월 이후 올해 3월까지 크게 하락했다가 4월 이후 연속 4개월째 상승하고 있다. 특히 4월 007%, 5월 0.12%, 6월 0.16% 올라 갈수록 상승폭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국토부는 현재 지가 수준이 고점이었던 지난해 10월에 비해 4.7% 하락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서울(0.28%), 인천(0.31%), 경기(0.3%) 등 수도권 지역이 전국 평균보다 많이 올랐다.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경기도 하남시로 미사 보금자리주택 시범지구 지정에 따른 기대감으로 전달 대비 0.9% 상승했다. 또 안산시 단원구가 안산 선감도 일대 해양체험 관광단지 개발 기대감으로 0.68% 올랐다. 경기 부천 소사구도 뉴타운(소사구), 주택재개발 등의 영향으로 0.55% 뛰었다. 경기도 양평군(0.5%), 충남 당진군(0.49%)은 각각 서울~춘천 고속도로 개통, 대전~당진 고속도로 개통 등의 영향으로 강세를 보였다. 서울 강남구(0.31%), 서초구(0.25%), 송파구(0.29%) 등 강남 3개구와 과천시(0.42%) 등도 상승폭이 컸다.
한편, 지난달 토지 거래량은 총 22만1707필지, 2억638만5000㎡로 6월에 비해 필지수는 3.1% 늘어난 반면, 면적 기준으로는 15.5% 감소했다.
김병국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국토해양부는 26일 7월 전국 땅값은 전달 대비 0.21% 오르며 올들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전국 땅값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지난해 11월 이후 올해 3월까지 크게 하락했다가 4월 이후 연속 4개월째 상승하고 있다. 특히 4월 007%, 5월 0.12%, 6월 0.16% 올라 갈수록 상승폭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국토부는 현재 지가 수준이 고점이었던 지난해 10월에 비해 4.7% 하락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서울(0.28%), 인천(0.31%), 경기(0.3%) 등 수도권 지역이 전국 평균보다 많이 올랐다.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경기도 하남시로 미사 보금자리주택 시범지구 지정에 따른 기대감으로 전달 대비 0.9% 상승했다. 또 안산시 단원구가 안산 선감도 일대 해양체험 관광단지 개발 기대감으로 0.68% 올랐다. 경기 부천 소사구도 뉴타운(소사구), 주택재개발 등의 영향으로 0.55% 뛰었다. 경기도 양평군(0.5%), 충남 당진군(0.49%)은 각각 서울~춘천 고속도로 개통, 대전~당진 고속도로 개통 등의 영향으로 강세를 보였다. 서울 강남구(0.31%), 서초구(0.25%), 송파구(0.29%) 등 강남 3개구와 과천시(0.42%) 등도 상승폭이 컸다.
한편, 지난달 토지 거래량은 총 22만1707필지, 2억638만5000㎡로 6월에 비해 필지수는 3.1% 늘어난 반면, 면적 기준으로는 15.5% 감소했다.
김병국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