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 지지율이 40%를 돌파하면서 한나라당이 내친김에 10월 재보궐선거까지 ‘욕심’을 내고 있다. 장광근 한나라당 사무총장의 발언은 해프닝으로 끝나는 분위기지만 한나라당 일부에서는 여전히 “서울 은평을 등 재보궐 선거지역을 확대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각종 지표와 달리 바닥민심은 여전히 냉랭하다. 최근 10월 재보궐 선거가 예정된 안산상록을을 다녀온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노무현,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를 거치면서 차갑게 돌아선 민심에는 아직 온기가 돌지 않는 것 같다”는 분석을 내놨다.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수용과 경제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대통령 지지도가 높아진 배경이지만 ‘대안없는 야당’에 대한 반발심리도 여론조사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중도실용’ ‘친서민’ 국정기조 변화와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발탁을 통한 인적쇄신의 양대 축이 분위기 반전을 이끌었지만 재보선 필승으로 이어지기에는 여전히 동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한나라당이 자신감은 이명박 대통령 지지도가 20%대까지 떨어졌던 지난 5~6월, “누가 나가도 10월 재보궐선거에서 이기기 힘들다”는 패배감과는 대조적이다.
당시 한나라당은 ‘5대0’이라는 4월 재보선 완패에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가 겹치면서 지지율 ‘10%대’의 촛불정국이 재현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감까지 제기됐다. ‘근원적 처방’을 요구하는 쇄신파동으로 당은 ‘자중지란’ 속으로 빠져들었다. 10월 재보선 지역을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만큼 국정운영의 동력이 급격하게 상실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10월 선거는 없다”는 친이직계 의원의 말대로 문국현 창조한국당 대표의 고등법원 선고도 연기됐다. “선거재판은 가급적 빨리 끝내겠다”고 공언했던 법원에는 정부여당과 ‘코드’를 맞추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졌다.
8월을 거치면서 한나라당 분위기는 “해볼 만하다”는 쪽으로 반전됐다. 촛불정국 이후 20~30%대 박스권을 형성하던 대통령 지지율이 40%를 돌파하면서부터다. 이 때문에 당 안팎에서는 재보궐선거가 확정된 경기 안산상록을, 경남 양산, 강원 강릉 등 3곳 이외에도 선거지역을 늘려야 한다는 이야기까지 흘러나왔다.
한나라당의 1차 과제는 ‘공천지뢰밭’을 무사히 건너야 한다는 것이다. 공천과정에서 탈락한 예비주자들이 무소속으로 본선에 출전하면 필승공식은 더 복잡해진다.
대통령 지지율과는 달리 횡보를 거듭하고 있는 한나라당 지지율도 걸림돌이다. 파행을 거듭하고 있는 여의도정치에 대한 실망감은 여당에 대한 지지철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대통령 지지율이 높던, 낮던 재보궐 선거는 경향성은 항상 여당 견제”라며 “상대적으로 여론이 나아지긴 했지만 미디어법 강행처리 등 국회파행에 대한 책임을 여당에게 물을 수 있는 만큼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각종 지표와 달리 바닥민심은 여전히 냉랭하다. 최근 10월 재보궐 선거가 예정된 안산상록을을 다녀온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노무현,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를 거치면서 차갑게 돌아선 민심에는 아직 온기가 돌지 않는 것 같다”는 분석을 내놨다.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수용과 경제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대통령 지지도가 높아진 배경이지만 ‘대안없는 야당’에 대한 반발심리도 여론조사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중도실용’ ‘친서민’ 국정기조 변화와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발탁을 통한 인적쇄신의 양대 축이 분위기 반전을 이끌었지만 재보선 필승으로 이어지기에는 여전히 동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한나라당이 자신감은 이명박 대통령 지지도가 20%대까지 떨어졌던 지난 5~6월, “누가 나가도 10월 재보궐선거에서 이기기 힘들다”는 패배감과는 대조적이다.
당시 한나라당은 ‘5대0’이라는 4월 재보선 완패에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가 겹치면서 지지율 ‘10%대’의 촛불정국이 재현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감까지 제기됐다. ‘근원적 처방’을 요구하는 쇄신파동으로 당은 ‘자중지란’ 속으로 빠져들었다. 10월 재보선 지역을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만큼 국정운영의 동력이 급격하게 상실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10월 선거는 없다”는 친이직계 의원의 말대로 문국현 창조한국당 대표의 고등법원 선고도 연기됐다. “선거재판은 가급적 빨리 끝내겠다”고 공언했던 법원에는 정부여당과 ‘코드’를 맞추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졌다.
8월을 거치면서 한나라당 분위기는 “해볼 만하다”는 쪽으로 반전됐다. 촛불정국 이후 20~30%대 박스권을 형성하던 대통령 지지율이 40%를 돌파하면서부터다. 이 때문에 당 안팎에서는 재보궐선거가 확정된 경기 안산상록을, 경남 양산, 강원 강릉 등 3곳 이외에도 선거지역을 늘려야 한다는 이야기까지 흘러나왔다.
한나라당의 1차 과제는 ‘공천지뢰밭’을 무사히 건너야 한다는 것이다. 공천과정에서 탈락한 예비주자들이 무소속으로 본선에 출전하면 필승공식은 더 복잡해진다.
대통령 지지율과는 달리 횡보를 거듭하고 있는 한나라당 지지율도 걸림돌이다. 파행을 거듭하고 있는 여의도정치에 대한 실망감은 여당에 대한 지지철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대통령 지지율이 높던, 낮던 재보궐 선거는 경향성은 항상 여당 견제”라며 “상대적으로 여론이 나아지긴 했지만 미디어법 강행처리 등 국회파행에 대한 책임을 여당에게 물을 수 있는 만큼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