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 평택공장에 조사관 파견…경찰 강제진압 자제요청
여야 정치권과 국가인권위원회 등이 쌍용차 사태와 관련 경찰의 강제진압 자제를 촉구했다. 지난 1월 용산 철거민 진압과정에서 발생한 것과 같은 대형 참사가 되풀이 돼서는 안된다는 판단에서다.
한나라당 윤상현 대변인은 구두논평을 통해 “불상사가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며 “일부 세력이 개입해 사태가 악화될 우려가 있으나 극단적 행동으로 상황을 파국으로 끌고 가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이강래 원내대표는 쌍용자동차 사태와 관련, “어떤 경우도 섣부른 강경진압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5일여의도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도장공장에 20만리터 이상의 시너가 있어 잘못하면 용산참사 이상의 재앙으로 번질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자유선진당 이명수 대변인은 논평에서 “쌍용차 노조는 더이상의 희생과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해 즉각 농성을 풀어야 한다”며 “노조는 대승적 자세로 회사의 정상적 회생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협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노동당 강기갑 대표는 성명을 내고 “경찰은 강제진압을 즉각 중단해야 하며 평화적 협상을 통한 회생방안 마련을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창조한국당 문국현 대표는 현병철 국가인권위원장을 방문해 쌍용차 문제에 인권위의 적극 개입을 당부한데 이어 성명을 통해 강제진압 중단을 요구했다.
국가인권위원회도 5일 대형참사가 우려된다며 쌍용차 강제진압을 자제하라는 긴급 구제조치를 경기지방경찰청장에게 권고했다.
인권위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기존의 진압작전으로 이미 큰 인명피해가 일어났다”며 “경찰은 농성자와 진압대원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는 위험한 강제진압을 최대한 자제하라”라고 촉구했다.
인권위는 “최루액과 전자충격기, 화염병 등 경찰과 노조가 쓰는 장비가 위험한 데다 공장 안에 인화물질이 있어 대형참사가 우려된다”며 “노조원들이 70여 일 고립돼 심신상태가 나빠졌기 때문에 추락과 자해 등의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인권위는 이와 함께 인권침해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조사관 6명을 평택공장에 파견했다고 밝혔다.
안찬수 기자 khaei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