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는 ‘퇴직연금 대학생 논문 현상공모’ 수상작을 선정, 18일 노동부 소회의실에서 시상했다.
이번 대회에는 지난 7월 13~22일까지 총 12편의 논문이 접수됐고, 외부전문가 3인을 포함한 5인의 심사위원이 심사를 맡아 우수상 2편, 장려상 3편 등 총 5편을 수상작으로 뽑았다.
우수상엔 (성균관대)씨의 ‘여성의 경제활동 특성과 퇴직급여제도의 실효성’과 전윤식외 1인(충남대)의 ‘4인 이하 사업장에 대한 효율적인 퇴직연금제도 적용방안’이 선정됐고, 장려상에는 이호재(숭실대)씨의 ‘프로스펙트이론을 통한 중소벤처기업의 퇴직연금 가입유도전략’, 최동호외 2인(경희대)의 ‘퇴직연금제도 관련 예금자보호법 개선방안 연구’, 손우도외 2인(계명대)의 ‘퇴직연금 전문기구 설립 필요성 연구’가 뽑혔다. 최우수상작은 없었다.
이날 시상식에서 이영희 노동부 장관은 “공모전은 제도개선에 대한 참신한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좋은 기회”라며 “대학생의 관심이 퇴직연금 확산과 효과적 운영의 가장 큰 동력”이라고 말했다.
강경흠 기자 khk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이번 대회에는 지난 7월 13~22일까지 총 12편의 논문이 접수됐고, 외부전문가 3인을 포함한 5인의 심사위원이 심사를 맡아 우수상 2편, 장려상 3편 등 총 5편을 수상작으로 뽑았다.
우수상엔 (성균관대)씨의 ‘여성의 경제활동 특성과 퇴직급여제도의 실효성’과 전윤식외 1인(충남대)의 ‘4인 이하 사업장에 대한 효율적인 퇴직연금제도 적용방안’이 선정됐고, 장려상에는 이호재(숭실대)씨의 ‘프로스펙트이론을 통한 중소벤처기업의 퇴직연금 가입유도전략’, 최동호외 2인(경희대)의 ‘퇴직연금제도 관련 예금자보호법 개선방안 연구’, 손우도외 2인(계명대)의 ‘퇴직연금 전문기구 설립 필요성 연구’가 뽑혔다. 최우수상작은 없었다.
이날 시상식에서 이영희 노동부 장관은 “공모전은 제도개선에 대한 참신한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좋은 기회”라며 “대학생의 관심이 퇴직연금 확산과 효과적 운영의 가장 큰 동력”이라고 말했다.
강경흠 기자 khk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