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다 탄자니아 총리, 농진청·농어촌공사 잇달아 방문
(사진=탄자니아총리)
핀다(사진 왼쪽) 탄자니아 총리가 9일 농어촌공사 홍문표 사장과 농업기술 협력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사진 한국농어촌공사 제공
한국을 방문 중인 미젠고 핀다 탄자니아 총리가 9일 농어촌공사를 방문하고 홍문표 농어촌공사 사장과 농업·농촌 기술협력 방안에 관해 의견을 교환했다.
핀다 총리는 “탄자니아 정부의 최우선과제는 농업생산성을 높여 농촌발전과 농민소득을 증대하는 것”이라며 “한국의 농촌개발 성공모델을 배우고 농어촌공사의 기술지원과 협력을 요청하기 위해 방문했다”고 말했다.
홍 사장도 ‘한국-탄자니아간 농업기술지원 현황’을 설명하고 협력사업 확대방안을 제안했다. 홍 사장은 특히 탄자니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8000ha 규모의 잔지바르섬 관개시설과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홍 사장은 또 한국이 기술과 자본을 투입해 탄자니아 프와니주에 5만ha의 농지를 개발해 농업기술연수원과 농식품수출단지를 건설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이에 대해 핀다 총리는 “홍 사장의 제안이 현실화되면 탄자니아 농업기술 증진과 농민소득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며 “관계 장관이 10월 중에 한국을 다시 방문해 세부 추진방안을 협의하겠다”고 약속했다.
핀다 총리는 오찬을 통해 “근면·자조·협동이라는 한국의 새마을정신이 인상적이었다”며 “열악한 환경에서 주곡을 자급한 것과 농산물의 식품산업화 기술수준이 발달해 많이 놀랐다”고 한국 방문소감을 밝혔다.
핀다 총리는 이에 앞서 8일엔 농촌진흥청을 방문해 김재수 농진청장과 농업기술협력에 관한 의견을 나누기도 했다.
탄자니아는 한반도의 4.3배에 달하는 국토를 가지고 있다. 농업은 국내총생산의 46%, 외화획득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관개시설 정비율이 농경지의 3%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사진=탄자니아총리)
핀다(사진 왼쪽) 탄자니아 총리가 9일 농어촌공사 홍문표 사장과 농업기술 협력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사진 한국농어촌공사 제공
한국을 방문 중인 미젠고 핀다 탄자니아 총리가 9일 농어촌공사를 방문하고 홍문표 농어촌공사 사장과 농업·농촌 기술협력 방안에 관해 의견을 교환했다.
핀다 총리는 “탄자니아 정부의 최우선과제는 농업생산성을 높여 농촌발전과 농민소득을 증대하는 것”이라며 “한국의 농촌개발 성공모델을 배우고 농어촌공사의 기술지원과 협력을 요청하기 위해 방문했다”고 말했다.
홍 사장도 ‘한국-탄자니아간 농업기술지원 현황’을 설명하고 협력사업 확대방안을 제안했다. 홍 사장은 특히 탄자니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8000ha 규모의 잔지바르섬 관개시설과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홍 사장은 또 한국이 기술과 자본을 투입해 탄자니아 프와니주에 5만ha의 농지를 개발해 농업기술연수원과 농식품수출단지를 건설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이에 대해 핀다 총리는 “홍 사장의 제안이 현실화되면 탄자니아 농업기술 증진과 농민소득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며 “관계 장관이 10월 중에 한국을 다시 방문해 세부 추진방안을 협의하겠다”고 약속했다.
핀다 총리는 오찬을 통해 “근면·자조·협동이라는 한국의 새마을정신이 인상적이었다”며 “열악한 환경에서 주곡을 자급한 것과 농산물의 식품산업화 기술수준이 발달해 많이 놀랐다”고 한국 방문소감을 밝혔다.
핀다 총리는 이에 앞서 8일엔 농촌진흥청을 방문해 김재수 농진청장과 농업기술협력에 관한 의견을 나누기도 했다.
탄자니아는 한반도의 4.3배에 달하는 국토를 가지고 있다. 농업은 국내총생산의 46%, 외화획득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관개시설 정비율이 농경지의 3%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