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졌던 ‘금대구’ 30여만 마리 잡혀
종묘방류 황금어장 되살아나 … 참다랑어․돗돔 양식 도전
한류성 어종인 대구가 잡히는 시기는 12월에서 2월 사이. 바다오염과 남획으로 1993년 남해안에서 단 한 마리의 대구도 잡히지 않았다. 99년부터 경남도는 대규모로 대구 인공수정란을 거제 외포항 앞바다에 뿌렸다. 당시 대구 한 마리 가격은 30여만원으로 ‘금대구’라 불릴 정도였다.
2003년 7만여 마리에서 2007년 33만여 마리, 지난 해 35만 마리까지 어획고가 급증했다. 요즘 대구 값은 3만~5만원선. 나랏님만 맛본다는 대구가 서민 밥상에 오르게 됐다.
경남도수산자원연구소 박대원(38)박사는 “외포항으로 회귀하는 대구를 조사한 결과 5~6년만에 돌아오고 있다”며 “인공수정란 방류 효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거제 수협에 따르면 외포항 주변에서 대구를 잡는 가구당 평균매출은 5000여만원. 겨울 석 달동안 번 돈이다. 경남도 대구 어획고는 지난 해 62억원. 경남도는 올해 5곳에서 알 32억2000만 개, 치어 5만 마리를 방류할 계획이다.
◆종묘방류사업으로 되살아 난 남해 황금어장 =
남해바다는 멸치, 쥐치, 댁, 볼락, 미역 등 각종 수산물이 넘쳐나는 ‘황금바다’였다. 하지만 남획과 환경오염 등으로 수산자원이 급속도로 줄어들었다. 고향을 떠나는 어민들이 속출했다. 경남도는 장기프로젝트를 마련,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93년부터 2007년까지 방류한 치어는 모두 6200여만 마리. 지난 해 55억원을 투입해 3000여만 마리를 방류했고 올해는 2188만 마리를 바다로 보낼 계획이다.
경남도 자체 조사 결과 50억원을 투입할 경우 4년 후 114억원의 직접적인 어획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의 도어인 볼락은 2002년 인공종묘를 방류, 어획고가 2000년 309톤에서 2008년 598톤으로 증가했고 감성돔은 1999년 295톤에 불과했지만 2001년 종묘 방류이후 지난 해 535톤으로 늘어났다. 해삼 역시 2004년 365톤으로 줄어들어 2006년부터 어린 해삼을 방류해 2007년 1064톤, 지난 해에는 1276톤으로 증가했다.
◆욕지도 참다랑어 양식 개발 =
경남 통영군 욕지 서산해역. 통영항에서 배로 1시간 넘게 걸리는 외해에 새로운 바다목장이 실험 중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성공하지 못한 참다랑어 양식이 내년부터 본격 시도된다.
경남도와 통영시는 지난 해부터 1억7000만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참다랑어 양식어장 발굴에 나서 시범적으로 욕지도 인근바다 해상가두리에 참다랑어 치어를 기르는 데 성공했다. 입식한 치어 중 80% 이상이 살아남았다.
이에 따라 내년에는 20ha의 바다목장에 30억원을 들여 참다랑어 양식어장 개발에 본격 나서게 된 것이다.
흔히 참치라고 불리는 참다랑어는 참치류 가운데 가장 대형어류로 길이는 3m, 체중은 500kg 전후로 성장한다. 일본 등에서는 이미 양식에 성공했다. 전세계 양식생산량은 4만톤 가량으로 치어에서 50kg까지 키우는데 3년 정도 걸린다. 50kg 참다랑어는 150만원에 팔릴 정도로 고급어종이다.
◆전설의 대물, 돗돔을 키워라 =
경남도수산기술사업소는 새로운 도전에 나섰다. 사라져 가는 ‘전설의 대물’ 돗돔 보존이 그것. 돗돔은 몸길이는 2m, 몸무게는 최고 280kg에 달하는 농어목의 초대형 물고기다. 우리나라 동해안 속초부터 남해안 흑산도까지 서식하며 예전에는 그 수가 제법 많았지만 요즘은 워낙 귀한 어종이 되어 잡는 어업인도 그리 많지 않은 실정.
“품종자체가 귀하고 전국각지에 흩어져 있으니 토요일 일요일 없이 다녔죠. 거문도와 속초, 제주도까지 전국 각지 안 가본 데가 없습니다”
경상도수산기술사업소 김효근 계장 등 돗돔 양식 개발팀은 종묘확보를 위해 2007년부터 전국을 뒤져 90여미를 확보해 현재 28마리를 양성관리 중에 있다.
경남도가 돗돔에 주목한 것은 우리나라 해상가두리 양식이 우럭, 돔류에 편중해 수익성이 날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돗돔은 다금바리에 버금가는 고급어종이지만 심해에 살고 성어가 되기까지 7~8년이 걸려 양식성공에는 상당한 기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2013년까지 200~300미의 성어를 확보하는 게 목표다.
창원 차염진 기자 yjcha@naeil.com
바다 청소하고 일자리도 창출
굴패각 비료 재활용 … 바다 녹색시책 다양
경남도는 다양한 시책을 통해 ‘바다 녹색성장’을 실현하고 있다.
전국 굴 생산량의 85%를 차지하는 경남도는 매년 28만여톤의 패각이 발생한다. 도는 패각 처리 생산까지 톤당 2만원을 지원해 패각을 재활용, 패화석비료를 생산하고 있다. 패화석비료는 석회고토에 비해 알칼리 성분은 다소 낮으나 다량의 유기물과 미량원소를 함유하고 있어 토양개량 효과가 좋다.
2006년부터 어선용 연료정화장치 보급사업도 추진 중이다. 정화장치를 통해 연료를 완전연소시켜 5%의 연료비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에너지 절감형 LED 집어등 설치도 에너지 절약사업 중 하나다.
겨울철 육상양식장 치어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18도 이상의 온수가 필요하다. 하루 10드럼 이상의 경유가 들어가고 이는 전체 경영비의 30%에 달한다. 배출되는 해수의 열을 회수하여 인입되는 해수와 혼합하는 에너지 절감설비를 경남도가 지원하고 있다.
바다오염의 주범인 침적폐기물 수거 등 해양정화사업은 경남도가 정부에 건의해 전국사업으로 확대된 모범 사업 중 하나다. 바다를 청소하면서 일자리도 만들었다. 경남도는 폐어망 등을 수거하기 위해 연근해어선 100여척, 수거 및 처리 인원 1000여명을 고용해 바다정화사업을 벌이고 있다.
차염진 기자
인터뷰 김태호 경남도지사
“남해안개발과 수산자원 증대 배치되지 않아”
“수산종묘를 방류한 후 전복과 넙치는 거의 7배에 달합니다. 경남은 전국에서 가장 활발한 종묘 방류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이제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이 정착단계에 들어섰습니다.”
남해안시대를 주창한 김태호 지사는 ‘바다사랑’이 남다르다고 자부한다. 어업인 설문조사 결과 92%가 수산종묘 방류사업이 소득증대에 기여했다고 답했다.
김지사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50억원 규모로 방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3년전부터 실시한 꽃게 방류사업은 어획량이 3배 이상 증가했고 대구는 약 70억원의 어획고를 올렸다”고 강조했다. 고급어종인 돗돔 양식은 실험 중이고 서민어종인 고등어 양식에 성공했다고 덧붙였다.
남해안종합개발과 관련, 수산자원보호구역해제가 수산자원 조성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김 지사는 “보호구역 해제가 오히려 지역발전과 함께 소득창출 기회가 확대될 것”이라며 “수산자원이 감소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향후 수산자원 조성계획에 대해 지역특성을 고려해 직접소득 증대가 높은 연안정착성 품종 위주로 방류하고 수협과 어촌계 등 민간단체의 참여도 적극 유도하겠다고 설명했다.
차염진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