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입땐 교육ㆍ연구에 변혁 예상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서울대 평의원회가 13일 내놓은 ''교수단(faculty)'' 설치를 골자로 한 ''교수제도 개선방안''이 받아들여질 경우 교수들의 교육ㆍ연구행태에 일대 변혁이 예상된다.
평의원회 보고서는 기본 인적단위로 ''○○학 교수단''을 설치해 같은 학문 분야를 연구하는 교수들을 한데 모으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그동안 교육계에서는 교수를 단과대나 학부 등 교육단위에 소속시키는 현행 제도가 전적으로 인재 양성에만 초점을 맞춘 ''반쪽'' 제도라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
단과대와 대학원 대부분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 연구원(소)'' 등 별도 연구조직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지만 교수들의 참여율은 극히 저조한 상태다.
하지만 교수단제가 도입되면 교수들은 학과ㆍ학부의 구성원에서 제외되고 전문분야의 다양한 학내 조직에 자유롭게 참여해 교육과 연구라는 2대 책무를 효율적이고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교육 측면에서의 효율성도 크게 개선된다.
현행 제도는 신규 임용때부터 교수를 특정 학과나 학부 등에 소속시켜 타 단과대나 대학원에서 필요로 하는 같은 분야의 교육과정에 참여할 수 없게 하고 있다.
예컨대 사범대 화학교육과에서 화학을 가르치려면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등 소속교수를 데려올 수 없어 화학을 전공한 교원을 따로 임용해야 했다.
이에 따라 단과대와 대학원마다 유사 학과ㆍ학부가 중복적으로 개설돼 비효율이심했지만 교수단 제도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원천적으로 사라지게 된다.
보고서 작성을 주도한 평의원회 부의장 안윤옥(의학과) 교수는 "교수단 체제가 되면 지금껏 학과ㆍ학부의 벽 때문에 여러 제약에 맞닥뜨려야 했던 서울대 교수들이더욱 자유롭게 연구에 몰두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학제간 융합 연구가 대폭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보고서에는 또 교수진의 질을 높이기 위해 일반 교원의 재직기간을 13년으로 제한하고 재임용 심사를 강화하는 내용도 들어있어 관심을 모은다.
보고서는 "재임용이 승진임용과 사실상 혼동돼 유명무실해졌다"며 8년차와 13년차에 2차례 있는 정년보장 심사에서 탈락하면 학교를 떠나게 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교육전임교원과 연구전임교원은 3년 단위로 재임용 심사를 하는 대신 횟수나 기간에 제한을 두지 않기로 했다.
안 교수는 "대학의 목표는 우수한 교수를 확보하는 것이고 이를 입증할 기간을 주는 것이 13년이다. 그 기간 국제적 경쟁력을 보인다면 정년이 보장되지만 그렇지 않다면 떠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안 교수는 "교수단 도입 제안은 국내에선 서울대가 처음이지만 옥스퍼드와 프린스턴, 하버드 등 해외 유명대학은 이미 다들 실시하고 있다"면서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hwangch@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서울대 평의원회가 13일 내놓은 ''교수단(faculty)'' 설치를 골자로 한 ''교수제도 개선방안''이 받아들여질 경우 교수들의 교육ㆍ연구행태에 일대 변혁이 예상된다.
평의원회 보고서는 기본 인적단위로 ''○○학 교수단''을 설치해 같은 학문 분야를 연구하는 교수들을 한데 모으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그동안 교육계에서는 교수를 단과대나 학부 등 교육단위에 소속시키는 현행 제도가 전적으로 인재 양성에만 초점을 맞춘 ''반쪽'' 제도라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
단과대와 대학원 대부분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 연구원(소)'' 등 별도 연구조직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지만 교수들의 참여율은 극히 저조한 상태다.
하지만 교수단제가 도입되면 교수들은 학과ㆍ학부의 구성원에서 제외되고 전문분야의 다양한 학내 조직에 자유롭게 참여해 교육과 연구라는 2대 책무를 효율적이고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교육 측면에서의 효율성도 크게 개선된다.
현행 제도는 신규 임용때부터 교수를 특정 학과나 학부 등에 소속시켜 타 단과대나 대학원에서 필요로 하는 같은 분야의 교육과정에 참여할 수 없게 하고 있다.
예컨대 사범대 화학교육과에서 화학을 가르치려면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등 소속교수를 데려올 수 없어 화학을 전공한 교원을 따로 임용해야 했다.
이에 따라 단과대와 대학원마다 유사 학과ㆍ학부가 중복적으로 개설돼 비효율이심했지만 교수단 제도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원천적으로 사라지게 된다.
보고서 작성을 주도한 평의원회 부의장 안윤옥(의학과) 교수는 "교수단 체제가 되면 지금껏 학과ㆍ학부의 벽 때문에 여러 제약에 맞닥뜨려야 했던 서울대 교수들이더욱 자유롭게 연구에 몰두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학제간 융합 연구가 대폭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보고서에는 또 교수진의 질을 높이기 위해 일반 교원의 재직기간을 13년으로 제한하고 재임용 심사를 강화하는 내용도 들어있어 관심을 모은다.
보고서는 "재임용이 승진임용과 사실상 혼동돼 유명무실해졌다"며 8년차와 13년차에 2차례 있는 정년보장 심사에서 탈락하면 학교를 떠나게 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교육전임교원과 연구전임교원은 3년 단위로 재임용 심사를 하는 대신 횟수나 기간에 제한을 두지 않기로 했다.
안 교수는 "대학의 목표는 우수한 교수를 확보하는 것이고 이를 입증할 기간을 주는 것이 13년이다. 그 기간 국제적 경쟁력을 보인다면 정년이 보장되지만 그렇지 않다면 떠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안 교수는 "교수단 도입 제안은 국내에선 서울대가 처음이지만 옥스퍼드와 프린스턴, 하버드 등 해외 유명대학은 이미 다들 실시하고 있다"면서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hwangch@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