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 콩 연구팀이 토종 콩에서 항당뇨 자원을 찾아냈다.
농진청 콩연구팀은 최근 농진청이 보유하고 있는 토종 두류유전자원 4500여점을 분석해 혈당상승을 낮추는 작용을 하는 항당뇨 자원을 찾아냈다고 13일 밝혔다.
농진청에 따르면 야생두류에서 추출한 항당뇨 활성물질은 당뇨합병증을 일으키는데 관련하는 알도스 리덕타제 효소에 대해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내 혈당조절과 당뇨합병증 예방에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양한 스트레스인자에 의해 발생하는 유해활성 산소종(ROS)을 제거하는 성분도 다른 재배종 품종에 비해 우수하고 많았다.
야생두류는 한국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지만 항당뇨 활성물질이 많이 함유된 자원은 국내에만 분포한다.
농진청은 앞으로 항당뇨 활성물질의 분리에 대한 연구결과를 국제특허 등록하고 학술지에도 발표할 예정이다. 야생 두류의 생산기술 확립도 추진한다.
농진청 콩연구팀은 콩의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분석·추출해 식품·의약품산업에 활용할 계획이다.
정연근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농진청 콩연구팀은 최근 농진청이 보유하고 있는 토종 두류유전자원 4500여점을 분석해 혈당상승을 낮추는 작용을 하는 항당뇨 자원을 찾아냈다고 13일 밝혔다.
농진청에 따르면 야생두류에서 추출한 항당뇨 활성물질은 당뇨합병증을 일으키는데 관련하는 알도스 리덕타제 효소에 대해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내 혈당조절과 당뇨합병증 예방에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양한 스트레스인자에 의해 발생하는 유해활성 산소종(ROS)을 제거하는 성분도 다른 재배종 품종에 비해 우수하고 많았다.
야생두류는 한국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지만 항당뇨 활성물질이 많이 함유된 자원은 국내에만 분포한다.
농진청은 앞으로 항당뇨 활성물질의 분리에 대한 연구결과를 국제특허 등록하고 학술지에도 발표할 예정이다. 야생 두류의 생산기술 확립도 추진한다.
농진청 콩연구팀은 콩의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분석·추출해 식품·의약품산업에 활용할 계획이다.
정연근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