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상장법인들의 최대주주 등 계열사와의 부동산 내부 임대차나 매매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14일까지 상장법인의 최대주주 등 계열사와의 부동산 임대차는 임대 347건, 임차 145건으로 작년 같은기간(임대 181건, 임차 108건)에 비해 임대는 91.7%, 임차는 34.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매매건수 역시 34건(매수 20건, 매도 14건)으로 작년 같은기간의 28건(매수 20건, 매도 8건)에 비해 늘어났다.
부동산 매매금액은 매도가 3천610억6200만원, 매수가 2천518억8800만원으로 작년같은 기간의 489억300만원과 1672억1400만원에 비해 매도는 638.3%, 매수는 50.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매도 사유는 재무구조개선이 2315억1100만원으로 전체의 64.1%였고 기타가 34.9% 였다. 매수 사유는 업무용이 47.5%, 투자목적이 39.8%를 차지했다.
증권거래소는 올들어 부동산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임대나 임차의 편의를 기대하거나 재무구조개선 등을 위해 상장법인의 부동산 내부 거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15일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14일까지 상장법인의 최대주주 등 계열사와의 부동산 임대차는 임대 347건, 임차 145건으로 작년 같은기간(임대 181건, 임차 108건)에 비해 임대는 91.7%, 임차는 34.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매매건수 역시 34건(매수 20건, 매도 14건)으로 작년 같은기간의 28건(매수 20건, 매도 8건)에 비해 늘어났다.
부동산 매매금액은 매도가 3천610억6200만원, 매수가 2천518억8800만원으로 작년같은 기간의 489억300만원과 1672억1400만원에 비해 매도는 638.3%, 매수는 50.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매도 사유는 재무구조개선이 2315억1100만원으로 전체의 64.1%였고 기타가 34.9% 였다. 매수 사유는 업무용이 47.5%, 투자목적이 39.8%를 차지했다.
증권거래소는 올들어 부동산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임대나 임차의 편의를 기대하거나 재무구조개선 등을 위해 상장법인의 부동산 내부 거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