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타운·재개발·재건축사업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저가주택이 감소하고, 이주수요 증가로 전셋집의 몸값이 상승하고 있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올 4월 129만가구였던 수도권 1억 이하 전세아파트는 10월 들어 118만가구로 줄었다. 서울은 같은 기간 15만7000가구에서 13만8000가구로 1만9000가구 감소했다.
◆내년 중소형 아파트 1만가구 입주에 그쳐 = 뉴타운사업으로 저가 아파트와 주택이 감소하고 있어 전세난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내년에 입주를 시작하는 중소형 아파트의 경우 1만가구를 겨우 넘어서 전세대란을 막는데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가 2010년 서울지역 입주예정 가구수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아파트 3만6845가구 중 서민들이 입주할 수 있는 중소형(85㎡) 물량은 31.7%인 1만1709가구에 불과하다.
중소형 아파트는 강남권 4개 구 즉 강남 서초 송파 강동에만 1365가구 공급될 예정이다. 양천구를 비롯해 중산층과 서민이 주로 살고 있는 강서 구로 광진 금천 노원 중랑구 등에는 새로 공급되는 물량이 단 한가구도 없다.
이들 아파트는 대부분 뉴타운 및 재개발 재건축 물량이기 때문에 조합원 외에 입주할 수 있는 물량은 극히 일부분이다.
이마저도 하반기에 주로 입주하기 때문에 상반기 전세난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세대 다가구 거주자들 어쩌라고 = 그동안 뉴타운 지역의 가옥주나 세입자들은 대부분 다가구나 다세대 서민주택에 거주해왔기 때문에 분양가와 전세 문제로 중대형 아파트 입주가 쉽지 않다.
결국 중소형 아파트 공급이 적다보니 서민들은 올라가는 전세값을 감당하지 못하고 수도권 외곽으로 나갈 수밖에 없다.
이에 반해 중대형 아파트 공갑량은 중소형의 2배에 달한다. 200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뉴타운 사업이 서민 주거난 해소와 동떨어져 있음을 시사하는 단면이다.
조민이 스피드뱅크 리서치팀장은 “2010년 입주물량은 예년에 비해 적은편이라 전세난이 예상된다”며 “특히 분양시장이 호조를 보임에 따라 재건축이나 재개발을 추진하는 각 사업장에서 속도를 낼 가능성이 크고 이는 더 심각한 전세대란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올 4월 129만가구였던 수도권 1억 이하 전세아파트는 10월 들어 118만가구로 줄었다. 서울은 같은 기간 15만7000가구에서 13만8000가구로 1만9000가구 감소했다.
◆내년 중소형 아파트 1만가구 입주에 그쳐 = 뉴타운사업으로 저가 아파트와 주택이 감소하고 있어 전세난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내년에 입주를 시작하는 중소형 아파트의 경우 1만가구를 겨우 넘어서 전세대란을 막는데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가 2010년 서울지역 입주예정 가구수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아파트 3만6845가구 중 서민들이 입주할 수 있는 중소형(85㎡) 물량은 31.7%인 1만1709가구에 불과하다.
중소형 아파트는 강남권 4개 구 즉 강남 서초 송파 강동에만 1365가구 공급될 예정이다. 양천구를 비롯해 중산층과 서민이 주로 살고 있는 강서 구로 광진 금천 노원 중랑구 등에는 새로 공급되는 물량이 단 한가구도 없다.
이들 아파트는 대부분 뉴타운 및 재개발 재건축 물량이기 때문에 조합원 외에 입주할 수 있는 물량은 극히 일부분이다.
이마저도 하반기에 주로 입주하기 때문에 상반기 전세난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세대 다가구 거주자들 어쩌라고 = 그동안 뉴타운 지역의 가옥주나 세입자들은 대부분 다가구나 다세대 서민주택에 거주해왔기 때문에 분양가와 전세 문제로 중대형 아파트 입주가 쉽지 않다.
결국 중소형 아파트 공급이 적다보니 서민들은 올라가는 전세값을 감당하지 못하고 수도권 외곽으로 나갈 수밖에 없다.
이에 반해 중대형 아파트 공갑량은 중소형의 2배에 달한다. 200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뉴타운 사업이 서민 주거난 해소와 동떨어져 있음을 시사하는 단면이다.
조민이 스피드뱅크 리서치팀장은 “2010년 입주물량은 예년에 비해 적은편이라 전세난이 예상된다”며 “특히 분양시장이 호조를 보임에 따라 재건축이나 재개발을 추진하는 각 사업장에서 속도를 낼 가능성이 크고 이는 더 심각한 전세대란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