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결산 상장사들의 당기 순이익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26.0% 줄어들고 특히 제조업은 36.7%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코스닥기업들의 상반기 순이익도 20.3%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대신경제연구소는 15일 KOSPI 200 종목을 중심으로 12월 결산법인 230개사와 코스닥 주요기업 120개사의 상반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들 상장사의 당기 순이익은 총 8조913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0% 줄었다고 밝혔다. 특히 제조업 221개사의 순이익은 36.7% 감소한 6조9548억원에 그쳤다.
12월 결산 상장사의 상반기 총 매출액은 219조5601억원으로 지난해보다 8.2% 늘어났다. 영업이익은 6.4% 감소한 18조2281억원, 경상이익은 14.7% 줄어든 12조9757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제약 비금속광물 운수장비 유통 통신 기계 은행 등 내수업종은 실적이 호전됐지만 종이 섬유 1차금속 반도체 전기전자 업종은 부진했다. 또 정유 화학 운수 전기가스 업종은 환율상승으로 영업이익은 크게 늘었지만 외환손실 확대로 경상이익은 되레 악화됐다.
은행업종의 경우 이자수익과 수수료가 늘어나 영업이익과 경상이익이 각각 71.5%, 88.0% 증가했다.
실적 호전이 두드러진 기업은 동아제약 종근당 유한양행 성신양회 아세아시멘트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현대모비스 등이다.
코스닥기업들의 순이익은 5300억원으로 20.3% 줄었고 경상이익은 3.7% 감소한 8691억원, 영업이익은 5.6% 늘어난 1조1711억원이었다. 매출액은 16.7% 증가한 13조170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신경제연구소는 15일 KOSPI 200 종목을 중심으로 12월 결산법인 230개사와 코스닥 주요기업 120개사의 상반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들 상장사의 당기 순이익은 총 8조913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0% 줄었다고 밝혔다. 특히 제조업 221개사의 순이익은 36.7% 감소한 6조9548억원에 그쳤다.
12월 결산 상장사의 상반기 총 매출액은 219조5601억원으로 지난해보다 8.2% 늘어났다. 영업이익은 6.4% 감소한 18조2281억원, 경상이익은 14.7% 줄어든 12조9757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제약 비금속광물 운수장비 유통 통신 기계 은행 등 내수업종은 실적이 호전됐지만 종이 섬유 1차금속 반도체 전기전자 업종은 부진했다. 또 정유 화학 운수 전기가스 업종은 환율상승으로 영업이익은 크게 늘었지만 외환손실 확대로 경상이익은 되레 악화됐다.
은행업종의 경우 이자수익과 수수료가 늘어나 영업이익과 경상이익이 각각 71.5%, 88.0% 증가했다.
실적 호전이 두드러진 기업은 동아제약 종근당 유한양행 성신양회 아세아시멘트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현대모비스 등이다.
코스닥기업들의 순이익은 5300억원으로 20.3% 줄었고 경상이익은 3.7% 감소한 8691억원, 영업이익은 5.6% 늘어난 1조1711억원이었다. 매출액은 16.7% 증가한 13조170억원으로 집계됐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