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축산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완공
축산 분뇨로 에너지를 만드는 한국형 ‘축산 바이오가스 생산시설(SCB-M)’이 완공됐다.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한진중공업그룹과 공동으로 하루 10톤의 축산 분뇨로 300㎾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을 경기도 수원 국립축산과학원에 설치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완공한 시설은 분뇨를 퇴비로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나오는 메탄가스를 모아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설계됐다.
농진청에 따르면 이 설비에서는 메탄가스 외에 하루 10톤의 분뇨에서 냄새가 거의 없는 양질의 액체 비료 6톤도 덤으로 얻을 수 있다.
농진청 축산환경과 조승희 연구사는 “축산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의 완공으로 축산 분뇨가 발효되면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메탄가스를 채집하는 설비를 보온하도록 해 안정적인 바이오가스 생산이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조 연구사는 “이미 전국 190개 축산 농가에 축산 분뇨에서 액체 비료를 생산하는 시설이 설치돼 있으며 이번 에너지화 설비는 기존 액체비료 생산장치에 추가 설치가 가능해 농가 보급에도 어려움이 없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신영근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축산 분뇨로 에너지를 만드는 한국형 ‘축산 바이오가스 생산시설(SCB-M)’이 완공됐다.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한진중공업그룹과 공동으로 하루 10톤의 축산 분뇨로 300㎾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을 경기도 수원 국립축산과학원에 설치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완공한 시설은 분뇨를 퇴비로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나오는 메탄가스를 모아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설계됐다.
농진청에 따르면 이 설비에서는 메탄가스 외에 하루 10톤의 분뇨에서 냄새가 거의 없는 양질의 액체 비료 6톤도 덤으로 얻을 수 있다.
농진청 축산환경과 조승희 연구사는 “축산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의 완공으로 축산 분뇨가 발효되면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메탄가스를 채집하는 설비를 보온하도록 해 안정적인 바이오가스 생산이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조 연구사는 “이미 전국 190개 축산 농가에 축산 분뇨에서 액체 비료를 생산하는 시설이 설치돼 있으며 이번 에너지화 설비는 기존 액체비료 생산장치에 추가 설치가 가능해 농가 보급에도 어려움이 없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신영근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