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를 약간 넘는 수준이었던 우리나라 기계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2012년 5%까지 상승할 수 것으로 전망됐다.
13일 ‘기계의 날’을 맞아 기계기술단체 총연합회, 기계산업진흥회, 기계연구원 등이 공동 주최하고, 지식경제부가 후원한 심포지엄에서 정지택 기계산업진흥회 회장은 기계산업의 세계시장 전망을 이같이 내다봤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세계 기계시장 점유율은 3.1%로 세계 9위 수준이었지만 올해는 이 비율이 3.9%까지 오르고, 중점 육성분야를 중심으로 꾸준히 영역을 넓히면 2012년 5%를 차지해 세계 7위권에 올라설 수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태양전지와 풍력, 연료전지 등 신재생 에너지와 친환경 발전, 고기능 환경설비 등의 녹색기술 분야가 기계산업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됐다.
임채민 지식경제부 1차관은 이날 축사에서 “기계산업에서 중요한 트렌드는 ‘환경’과 ‘에너지’로의 집중, 기계와 정보기술(IT)의 융합, 서비스 부문의 확대를 통한 고부가가치화”라며 “기계산업이 녹색성장을 이끌 선도사업이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기계분야의 산·학·연 공동연구에 기여한 장길회 (주)한화 상무와 장관영 생산기술연구원 센터장, 이상욱 대원강업 부장 등 3명에게 지식경제부 장관 표창을 수여하는 등 모두 8명의 유공자가 표창을 받았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13일 ‘기계의 날’을 맞아 기계기술단체 총연합회, 기계산업진흥회, 기계연구원 등이 공동 주최하고, 지식경제부가 후원한 심포지엄에서 정지택 기계산업진흥회 회장은 기계산업의 세계시장 전망을 이같이 내다봤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세계 기계시장 점유율은 3.1%로 세계 9위 수준이었지만 올해는 이 비율이 3.9%까지 오르고, 중점 육성분야를 중심으로 꾸준히 영역을 넓히면 2012년 5%를 차지해 세계 7위권에 올라설 수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태양전지와 풍력, 연료전지 등 신재생 에너지와 친환경 발전, 고기능 환경설비 등의 녹색기술 분야가 기계산업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됐다.
임채민 지식경제부 1차관은 이날 축사에서 “기계산업에서 중요한 트렌드는 ‘환경’과 ‘에너지’로의 집중, 기계와 정보기술(IT)의 융합, 서비스 부문의 확대를 통한 고부가가치화”라며 “기계산업이 녹색성장을 이끌 선도사업이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기계분야의 산·학·연 공동연구에 기여한 장길회 (주)한화 상무와 장관영 생산기술연구원 센터장, 이상욱 대원강업 부장 등 3명에게 지식경제부 장관 표창을 수여하는 등 모두 8명의 유공자가 표창을 받았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