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전세비율 높아져
매매는 떨어지고, 전세는 올라
서울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을 조사한 결과 매매값은 떨어지고 전세값은 오르면서 올 초 대비 전세값 비율이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정보업체 내집마련정보사에 따르면 총부채상황비율 규제로 인해 기존 아파트는 거래가 주춤해지고 가격이 떨어지고 있다. 하지만 신규공급물량 부족과 이주 수요 증가로 전세값은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올 초 서울 전체 평균 매매값은 3.3㎡당 1590만원, 평균 전세값은 3.3㎡당 585만원으로 전세값 비율이 38.3%이었다. 하지만 11월 9일 현재 매매값은 3.3㎡당 1662만원, 평균 전세값은 627만원으로 매매값 대비 전세값 비율이 39.5%로 올 초보다 전세값 비율이 1.2%가 커졌다.
서울에서 올 초 대비 현재 전셋값 비율이 가장 커진 곳은 강서구로 조사됐다. 강서구는 올 초 매매값 대비 전세값 비율(1422만원, 502만원) 35.3%에서 현재(1464만원, 578만원)에는 39.5%로 올 초보다 전세값 비율이 4.2%나 커졌다. 다음으로는 송파구로 조사됐다. 송파구는 올 초 전세값 비율(2288만원, 635만원) 27.8%에서 현재 (2541만원, 808만원) 31.8%로 매매값 대비 전세값 비율이 4.1%가 커졌다.
송파구에 이어서는 중구(42.7→44.8%)로 2.1%, 관악구(42.4→44.4%) 2.1%, 중랑구(43.0→44.9%) 1.8%, 강북구(39.0→40.8%) 1.8%, 도봉구(38.7→40.5%) 1.8%, 성북구(42.6→44.2%) 1.7% 등의 순으로 전세값 비율이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반해 매매값 대비 전세값 비율이 올 초보다 줄어든 곳도 2군데나 있다. 우선 영등포구가 올 초 매매값 대비 전세값 비율(1461만원, 565만원)이 38.7%였으나 현재(1669만원, 595만원)는 35.7%로 전세값 비율이 3%가 줄어들었다. 양천구도 올 초(1873만원, 665만원) 35.5%에서 현재(2094만원, 738만원)는 35.2%로 전세값 비율이 0.3%가 줄었다.
양지영 내집마련정보사 팀장은 “지금까지는 매매값이 떨어지면 전세도 뒤따라 떨어지는 등 같이 움직이는 관계를 유지해왔는데 최근에는 외부적인 요인이 많아지면서 따로 움직이고 있다”며 “최근 2~3년 동안에 이어진 소형주택 공급 부족과 이주 수요 증가에 방학이사철까지 합세하면 전세값이 더 오를 여지가 있어 전세값 비율은 더욱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매매는 떨어지고, 전세는 올라
서울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을 조사한 결과 매매값은 떨어지고 전세값은 오르면서 올 초 대비 전세값 비율이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정보업체 내집마련정보사에 따르면 총부채상황비율 규제로 인해 기존 아파트는 거래가 주춤해지고 가격이 떨어지고 있다. 하지만 신규공급물량 부족과 이주 수요 증가로 전세값은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올 초 서울 전체 평균 매매값은 3.3㎡당 1590만원, 평균 전세값은 3.3㎡당 585만원으로 전세값 비율이 38.3%이었다. 하지만 11월 9일 현재 매매값은 3.3㎡당 1662만원, 평균 전세값은 627만원으로 매매값 대비 전세값 비율이 39.5%로 올 초보다 전세값 비율이 1.2%가 커졌다.
서울에서 올 초 대비 현재 전셋값 비율이 가장 커진 곳은 강서구로 조사됐다. 강서구는 올 초 매매값 대비 전세값 비율(1422만원, 502만원) 35.3%에서 현재(1464만원, 578만원)에는 39.5%로 올 초보다 전세값 비율이 4.2%나 커졌다. 다음으로는 송파구로 조사됐다. 송파구는 올 초 전세값 비율(2288만원, 635만원) 27.8%에서 현재 (2541만원, 808만원) 31.8%로 매매값 대비 전세값 비율이 4.1%가 커졌다.
송파구에 이어서는 중구(42.7→44.8%)로 2.1%, 관악구(42.4→44.4%) 2.1%, 중랑구(43.0→44.9%) 1.8%, 강북구(39.0→40.8%) 1.8%, 도봉구(38.7→40.5%) 1.8%, 성북구(42.6→44.2%) 1.7% 등의 순으로 전세값 비율이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반해 매매값 대비 전세값 비율이 올 초보다 줄어든 곳도 2군데나 있다. 우선 영등포구가 올 초 매매값 대비 전세값 비율(1461만원, 565만원)이 38.7%였으나 현재(1669만원, 595만원)는 35.7%로 전세값 비율이 3%가 줄어들었다. 양천구도 올 초(1873만원, 665만원) 35.5%에서 현재(2094만원, 738만원)는 35.2%로 전세값 비율이 0.3%가 줄었다.
양지영 내집마련정보사 팀장은 “지금까지는 매매값이 떨어지면 전세도 뒤따라 떨어지는 등 같이 움직이는 관계를 유지해왔는데 최근에는 외부적인 요인이 많아지면서 따로 움직이고 있다”며 “최근 2~3년 동안에 이어진 소형주택 공급 부족과 이주 수요 증가에 방학이사철까지 합세하면 전세값이 더 오를 여지가 있어 전세값 비율은 더욱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