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년전 철거됐다가 2년 전 발견된 환구단 정문이 원래 장소로 돌아왔다. 서울시는 1967년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이 건설될 때 강북구 우이동으로 옮겨진 환구단 정문을 42년만에 호텔 옆 시민광장으로 이전·복원했다고 9일 밝혔다.
환구단은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의 자주독립을 대내외에 널리 알리기 위해 하늘에 제사지내는 의례를 거행하는 곳으로 황궁(현재의 덕수궁)과 마주보는 자리에 설치했다.
환구단은 일제가 1913년 그 자리에 철도호텔을 세우면서 일부가 헐렸고, 1967년 같은 자리에 조선호텔이 재건축되면서 신주를 봉안하던 8각 황궁우 건물을 제외한 다른 시설들은 모두 철거됐다. 2007년 8월 강북구 우이동에서 환구단 정문이 발견돼 시와 중구청은 올해 3월부터 15억600만원을 들여 복원 공사를 진행했다.
시는 내년에는 문화재청과 협의해 흩어져 있는 황궁우와 석고단 등 환구단 영역 재정비 작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환구단시민광장은 면적이 1184㎡로 주변 직장인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환구단은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의 자주독립을 대내외에 널리 알리기 위해 하늘에 제사지내는 의례를 거행하는 곳으로 황궁(현재의 덕수궁)과 마주보는 자리에 설치했다.
환구단은 일제가 1913년 그 자리에 철도호텔을 세우면서 일부가 헐렸고, 1967년 같은 자리에 조선호텔이 재건축되면서 신주를 봉안하던 8각 황궁우 건물을 제외한 다른 시설들은 모두 철거됐다. 2007년 8월 강북구 우이동에서 환구단 정문이 발견돼 시와 중구청은 올해 3월부터 15억600만원을 들여 복원 공사를 진행했다.
시는 내년에는 문화재청과 협의해 흩어져 있는 황궁우와 석고단 등 환구단 영역 재정비 작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환구단시민광장은 면적이 1184㎡로 주변 직장인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