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비리 지팡이’ 오명 벗을까
‘민간에 신세 안지기’ 등 이미지 개선 안간힘
사고우려자 체계관리 … 모든 경찰서 청렴도조사
경찰이 새해벽두부터 ‘깨끗한 경찰’로 거듭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지난해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청렴도 최하위 기관에 선정되는 등 비리기관이란 해묵은 오명을 털어내기 위해서다. 특히 내부 비리비위를 줄이는 것만큼 안팎의 부정적인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는 게 경찰 수뇌부 판단이다. “올해를 경찰 브랜드를 높이는 원년”으로 천명한 강희락 경찰청장의 2년차 행보와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전체 경찰 인원수나 강도 높았던 사정활동 등 앞뒤 상황 고려 없이 비난의 화살을 맞게 된 데는 ‘경찰=비리’라는 국민들의 뿌리 깊은 인식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란 얘기다.
실제 경찰청은 지난해 강도 높은 사정활동으로 경찰서장(총경) 18명 등 비리경찰관 300명을 퇴출시켰다. 퇴출직원 수만 따지면 예년의 2배가 넘는다. 하지만 비리적발 건수도 적고 징계도 솜방망이에 그친다며 경찰 내부사정을 ‘제식구 감싸기’로 폄하하는 세간의 평가가 많았던 게 사실이다.
경찰은 이런 점을 고려 올해 강도 높은 사정활동을 지속하되 비리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에 주력키로 했다. 이를 통해 대국민 인식개선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연초 ‘민간인에 부담주고 신세지는 행위를 하지 말자’는 캠페인도 이런 연유로 시작하고 있다.
조길형 경찰청 감사관은 “민간인이 제공하는 회식 등 부정적으로 비쳐질 수 있는 그릇된 관행을 적극 개선하겠다”며 “협찬이나 스폰서 없이 자체 예산이나 봉급 범위내에서 활동하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비리로 연결될 소지를 경찰 스스로 원천 차단하겠다는 의미다.
경찰은 이와 함께 ‘잠재적인 사고 위험 진단도구’ 를 개발해 ‘사고우려자’에 대한 체계적 관리시스템도 마련키로 했다. 서울 사이버대학에 용역 의뢰해 개발 중인 진단도구가 나오면 일선 경찰관들을 중심으로 바로 적용할 방침이다.
또 전국 경찰서를 대상으로 ‘청렴도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성과평가에 반영해 취약한 곳을 집중 개선한다는 복안도 마련했다. 국가기관 청렴도 평가에 적극 대응해 이미지 개선은 물론 일선 경찰들에게 경각심을 불어 넣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경찰은 이같은 안팎의 부정적 인식 개선 방안과 함께 중요비위에 대한 적출 위주의 감사는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금품수수 공금횡령 음주운전 직무상비밀누설 등 4대 근절대상 비위에 대해선 집중적이고 엄정한 사정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고병수 기자 byng8@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민간에 신세 안지기’ 등 이미지 개선 안간힘
사고우려자 체계관리 … 모든 경찰서 청렴도조사
경찰이 새해벽두부터 ‘깨끗한 경찰’로 거듭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지난해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청렴도 최하위 기관에 선정되는 등 비리기관이란 해묵은 오명을 털어내기 위해서다. 특히 내부 비리비위를 줄이는 것만큼 안팎의 부정적인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는 게 경찰 수뇌부 판단이다. “올해를 경찰 브랜드를 높이는 원년”으로 천명한 강희락 경찰청장의 2년차 행보와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전체 경찰 인원수나 강도 높았던 사정활동 등 앞뒤 상황 고려 없이 비난의 화살을 맞게 된 데는 ‘경찰=비리’라는 국민들의 뿌리 깊은 인식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란 얘기다.
실제 경찰청은 지난해 강도 높은 사정활동으로 경찰서장(총경) 18명 등 비리경찰관 300명을 퇴출시켰다. 퇴출직원 수만 따지면 예년의 2배가 넘는다. 하지만 비리적발 건수도 적고 징계도 솜방망이에 그친다며 경찰 내부사정을 ‘제식구 감싸기’로 폄하하는 세간의 평가가 많았던 게 사실이다.
경찰은 이런 점을 고려 올해 강도 높은 사정활동을 지속하되 비리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에 주력키로 했다. 이를 통해 대국민 인식개선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연초 ‘민간인에 부담주고 신세지는 행위를 하지 말자’는 캠페인도 이런 연유로 시작하고 있다.
조길형 경찰청 감사관은 “민간인이 제공하는 회식 등 부정적으로 비쳐질 수 있는 그릇된 관행을 적극 개선하겠다”며 “협찬이나 스폰서 없이 자체 예산이나 봉급 범위내에서 활동하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비리로 연결될 소지를 경찰 스스로 원천 차단하겠다는 의미다.
경찰은 이와 함께 ‘잠재적인 사고 위험 진단도구’ 를 개발해 ‘사고우려자’에 대한 체계적 관리시스템도 마련키로 했다. 서울 사이버대학에 용역 의뢰해 개발 중인 진단도구가 나오면 일선 경찰관들을 중심으로 바로 적용할 방침이다.
또 전국 경찰서를 대상으로 ‘청렴도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성과평가에 반영해 취약한 곳을 집중 개선한다는 복안도 마련했다. 국가기관 청렴도 평가에 적극 대응해 이미지 개선은 물론 일선 경찰들에게 경각심을 불어 넣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경찰은 이같은 안팎의 부정적 인식 개선 방안과 함께 중요비위에 대한 적출 위주의 감사는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금품수수 공금횡령 음주운전 직무상비밀누설 등 4대 근절대상 비위에 대해선 집중적이고 엄정한 사정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고병수 기자 byng8@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