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범 김 구 선생의 암살범인 안두희가 미군 방첩대(CIC) 정보원이었다는 사실이 당시 미 정보장교 보고서를 통해 밝혀졌다. 미국이 백범 암살에 개입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물증이어서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재미 사학자 방선주 박사가 해방 직후부터 48년 12월까지 CIC 정보장교로 한국에 근무하다 미국으로 돌아간 조지 릴리 소령이 백범 암살 사흘되인 49년 6월 29일 작성해 상부에 제출한 보고서를 미 국립공문서보존기록관리청에서 발굴, 국사편찬위원회에 전달함으로써 드러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안두희는 CIC의 정보원(informer) 및 첩보요원(agent)으로 활동했으며, 극우테러단체 백의사를 이끈 일본 밀정출신의 염응택(일명 염동진)도 미국의 정보원으로 드러났다. 또 안두희는 백의사의 특공대원이자 염동진의 심복이었음이 밝혀졌다.
지금까지 백범 암살의 배후로는 장은산 포병사령관, 김창룡 특무대장, 채병덕 총참모장, 신성모 국방장관 등이 지목돼 왔으며, 이승만 대통령과 미국의 개입이나 방조 등이 의혹으로 제기돼 왔다.
게다가 보고서에는 백의사가 백범 이외에도 여운형 송진우 장덕수를 비롯한 해방직후 주요 정치인 암살에 개입했음을 지적하는 내용도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재미 사학자 방선주 박사가 해방 직후부터 48년 12월까지 CIC 정보장교로 한국에 근무하다 미국으로 돌아간 조지 릴리 소령이 백범 암살 사흘되인 49년 6월 29일 작성해 상부에 제출한 보고서를 미 국립공문서보존기록관리청에서 발굴, 국사편찬위원회에 전달함으로써 드러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안두희는 CIC의 정보원(informer) 및 첩보요원(agent)으로 활동했으며, 극우테러단체 백의사를 이끈 일본 밀정출신의 염응택(일명 염동진)도 미국의 정보원으로 드러났다. 또 안두희는 백의사의 특공대원이자 염동진의 심복이었음이 밝혀졌다.
지금까지 백범 암살의 배후로는 장은산 포병사령관, 김창룡 특무대장, 채병덕 총참모장, 신성모 국방장관 등이 지목돼 왔으며, 이승만 대통령과 미국의 개입이나 방조 등이 의혹으로 제기돼 왔다.
게다가 보고서에는 백의사가 백범 이외에도 여운형 송진우 장덕수를 비롯한 해방직후 주요 정치인 암살에 개입했음을 지적하는 내용도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