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은 31일 2002학년도 고교평준화지역의 학생배정방안을 최종 확정·발표했다.
경기도교육청이 확정 발표한 수도권 5개 고입평준화 지역의 학생배정 방안은 선지원-후추첨과 근거리배정 방식을 절충한 당초 시안의 기본틀을 유지한 상태로 최종 확정됐다.
논란이 됐던 특수지(평준화 비적용 대상) 고교 지정은 배제했으며, 실업고 성격이 강한 고양의 2개 종합고교는 평준화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날 교육청이 발표한 배정 방안에 따르면 평준화가 적용되는 5개 지역중 성남 안양권(과천 군포 의왕 포함), 고양, 수원 등 4곳은 선지원-후추첨 방식에 의한 1차 배정과 근거리 배정원칙에 따른 2차 배정 등 2단계 배정방식을 적용했다.
다만 부천지역은 선지원-후추첨 방식에 따라 전원 배정키로 했다.
2단계 배정원칙이 적용되는 4개 지역 가운데 성남과 고양은 정원의 50%, 안양권은 40%, 수원은 70%를 각각 1차에 배정한다.
도교육청은 안양권의 1차 배정비율이 다른 지역보다 낮은 것은 4개 시 지역이 하나의 권역에 속해 있는 점을 감안, 2차 배정비율을 높여 더 많은 학생이 근거리 학교에 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2차 배정을 위한 구역은 수원의 경우 장안구와 권선구 북부를 묶은 1구역, 팔달구와 권선구 남부를 묶은 2구역 등 2개 구역으로 설정됐다.
성남은 수정 중원과 분당, 고양은 덕양과 일산으로 각각 나누고 안양권은 안양 동안, 안양 만안, 과천, 군포, 의왕 등 5개 구역으로 구분된다.
평준화 비적용 지정여부가 검토됐던 안양권 1개교와 성남권 2개교는 모두 평준화 대상에 포함시켰으며, 실업고의 성격이 강한 고양종고와 고양여종고 등 고양지역 2개 종합고등학교는 평준화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도교육청 관계자는“새로 도입한 배정방식은 도교육청이 개발한 시안을 토대로 지역별로 개최됐던 공청회와 교원 및 학부모협의회, 고입제도자문위원회 등의 여론수렴결과와 한국교육개발원의 영구결과를 반영해 최종 확정했다”고 말했다. /수원 곽태영 기자 ktyoung@naeil.com
경기도교육청이 확정 발표한 수도권 5개 고입평준화 지역의 학생배정 방안은 선지원-후추첨과 근거리배정 방식을 절충한 당초 시안의 기본틀을 유지한 상태로 최종 확정됐다.
논란이 됐던 특수지(평준화 비적용 대상) 고교 지정은 배제했으며, 실업고 성격이 강한 고양의 2개 종합고교는 평준화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날 교육청이 발표한 배정 방안에 따르면 평준화가 적용되는 5개 지역중 성남 안양권(과천 군포 의왕 포함), 고양, 수원 등 4곳은 선지원-후추첨 방식에 의한 1차 배정과 근거리 배정원칙에 따른 2차 배정 등 2단계 배정방식을 적용했다.
다만 부천지역은 선지원-후추첨 방식에 따라 전원 배정키로 했다.
2단계 배정원칙이 적용되는 4개 지역 가운데 성남과 고양은 정원의 50%, 안양권은 40%, 수원은 70%를 각각 1차에 배정한다.
도교육청은 안양권의 1차 배정비율이 다른 지역보다 낮은 것은 4개 시 지역이 하나의 권역에 속해 있는 점을 감안, 2차 배정비율을 높여 더 많은 학생이 근거리 학교에 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2차 배정을 위한 구역은 수원의 경우 장안구와 권선구 북부를 묶은 1구역, 팔달구와 권선구 남부를 묶은 2구역 등 2개 구역으로 설정됐다.
성남은 수정 중원과 분당, 고양은 덕양과 일산으로 각각 나누고 안양권은 안양 동안, 안양 만안, 과천, 군포, 의왕 등 5개 구역으로 구분된다.
평준화 비적용 지정여부가 검토됐던 안양권 1개교와 성남권 2개교는 모두 평준화 대상에 포함시켰으며, 실업고의 성격이 강한 고양종고와 고양여종고 등 고양지역 2개 종합고등학교는 평준화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도교육청 관계자는“새로 도입한 배정방식은 도교육청이 개발한 시안을 토대로 지역별로 개최됐던 공청회와 교원 및 학부모협의회, 고입제도자문위원회 등의 여론수렴결과와 한국교육개발원의 영구결과를 반영해 최종 확정했다”고 말했다. /수원 곽태영 기자 ktyou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