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이 유동성 위기라는 어려운 상황에도 시공능력 평가에서 삼성물산을 따돌리고 10년 연속 1위 자리를 지켜 국내건설업계의 대표주자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
또 LG건설은 지난해 매출액 증가에 힘입어 처음으로 ‘톱5’에 진입했다.
1일 대한건설협회가 공시한‘2001년도 업체별 건설시공능력평가’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3조4154억5700만원으로 1위 자리를 지켰으며 삼성물산은 3조1683억2400만원으로 2년 연속 2위를 차지했다. 특히 지난해 1조9992억4800만원이라는 큰 차이로 2위를 차지했던 삼성물산은 올해는 2471만3300만원이라는 간발의 차이로 현대에 뒤져 삼성관계자들을 안타깝게 만들었다. 3위 역시 지난해에 이어 3조718억6400만원의 대우가 차지했다.
그러나 현대건설은 지난해 이후 계속된 유동성위기의 영향을 받아 시공능력 평가금액이 2000년 5조2482억7200만원보다 무려 1조8000억원 이상 내려갔다.
지난해 매출액 증가가 두드러졌던 LG건설은 2조7517억6600만원으로 4위에 올라 처음으로 5위권에 진입했다.
5위에는 2조624억2600만원의 현대산업개발이, 6위는 대림산업(1조8519억3800만원)이 차지했다. 대림산업은 지난해보다 2계단 떨어졌다.
7위에는 1조7659억9900만원의 한진중공업이, 8위에는 1조6713억7900만원의 SK건설이, 9위에는 1조1679억9800만원의 동부건설이, 10위에는 1조834억300만원의 두산중공업이 각각 올랐다.
반면 시장에서 퇴출된 동아건설, 한양, 우성건설, 신화건설은 지난해 시공평가에서 50위권에 들었지만 올해의 경우 시공평가 대상에서 제외돼 명암이 교차하기도 했다.
시공능력은 건설협회가 공사실적과 경영상태 등을 종합, 분석해 각 업체의 건설공사 수행능력을 평가한 것으로 공사발주 때 업체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건설협회 관계자는 “올해는 경영평가액 반영률을 50%에서 100%로 높임에 따라 경영상태가 양호한 업체가 지난해보다 시공능력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또 LG건설은 지난해 매출액 증가에 힘입어 처음으로 ‘톱5’에 진입했다.
1일 대한건설협회가 공시한‘2001년도 업체별 건설시공능력평가’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3조4154억5700만원으로 1위 자리를 지켰으며 삼성물산은 3조1683억2400만원으로 2년 연속 2위를 차지했다. 특히 지난해 1조9992억4800만원이라는 큰 차이로 2위를 차지했던 삼성물산은 올해는 2471만3300만원이라는 간발의 차이로 현대에 뒤져 삼성관계자들을 안타깝게 만들었다. 3위 역시 지난해에 이어 3조718억6400만원의 대우가 차지했다.
그러나 현대건설은 지난해 이후 계속된 유동성위기의 영향을 받아 시공능력 평가금액이 2000년 5조2482억7200만원보다 무려 1조8000억원 이상 내려갔다.
지난해 매출액 증가가 두드러졌던 LG건설은 2조7517억6600만원으로 4위에 올라 처음으로 5위권에 진입했다.
5위에는 2조624억2600만원의 현대산업개발이, 6위는 대림산업(1조8519억3800만원)이 차지했다. 대림산업은 지난해보다 2계단 떨어졌다.
7위에는 1조7659억9900만원의 한진중공업이, 8위에는 1조6713억7900만원의 SK건설이, 9위에는 1조1679억9800만원의 동부건설이, 10위에는 1조834억300만원의 두산중공업이 각각 올랐다.
반면 시장에서 퇴출된 동아건설, 한양, 우성건설, 신화건설은 지난해 시공평가에서 50위권에 들었지만 올해의 경우 시공평가 대상에서 제외돼 명암이 교차하기도 했다.
시공능력은 건설협회가 공사실적과 경영상태 등을 종합, 분석해 각 업체의 건설공사 수행능력을 평가한 것으로 공사발주 때 업체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건설협회 관계자는 “올해는 경영평가액 반영률을 50%에서 100%로 높임에 따라 경영상태가 양호한 업체가 지난해보다 시공능력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