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기후변화시대에 걸맞은 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재건축 재개발 사업을 대폭 줄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서울시가 주창하는 디자인 역시 개별 건물보다 도시 전체를 아우르는 방향에서 검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염형철 서울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10일 ‘기후변화대응, 도시의 건축은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라는 주제로 열린 제10회 서울기후행동포럼에서 이같은 주장을 내놨다. 재건축 재개발 환경정비 뉴타운 등 1000여곳에 달하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이 2008년 기준 하루 3만671톤에 달한다는 것이다.
실제 수도권매립지에 반입되는 폐기물 중 건설폐기물은 42.1%로 생활폐기물(생활폐기물+사업장 생활계)보다 많다. 매립 폐기물로 따져도 인구는 경기도(1154만명)보다 적은 1029만명이면서 차지하는 비중은 44.2%로 경기도(39.2%)를 능가한다.
염형철 처장은 “서울시의 지속가능한 도시정책, CO₂감축을 위한 노력은 과도한 재개발과 불필요한 공사를 줄이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무분별하고 조급한 개발계획을 제어하기 위해 재개발 불로소득을 공적으로 회수해야 한다”며 국가와 지자체에 의해 이루어지는 개발 보금자리주택이나 한강르네상스 등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염형철 처장은 스웨덴 말뫼 등 환경 선진 도시 사례에 비추어 서울시가 환경을 고려한 섬세함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선진도시는 보행로 도로변 건물면에서 빗물을 지하에 충전, 지하수위를 보전하고 홍수량 조절 등을 고려하는 반면 서울시는 이에 역행하고 있다는 것. 대표적 사례로 지적된 것이 광화문광장이나 한강특화공원 등이다. 콘크리트로 바닥을 마감하고 철 구조물을 덧입혀 위에 화강석을 붙이는 방식으로 조성했기 때문이다.
진상현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기후변화센터 부연구위원은 서울시가 주창하는 디자인이 건물보다 도시 전체에 우선 적용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진 위원은 “도시 내 건물 배치를 어떻게 할 것인지, 사람들 움직임은 어떤지 등을 우선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진 위원은 이와 함께 서울시에서 친환경 건축물에 대해 집행하는 취·등록세 감면이나 건물 에너지합리화 지원비 등이 대형건물·대기업 위주로 진행된다며 실질적으로 에너지 낭비가 가장 큰 저소득층 낙후된 가구 증개축에 대한 지원이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진명 기자 jmkim@naie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염형철 서울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10일 ‘기후변화대응, 도시의 건축은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라는 주제로 열린 제10회 서울기후행동포럼에서 이같은 주장을 내놨다. 재건축 재개발 환경정비 뉴타운 등 1000여곳에 달하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이 2008년 기준 하루 3만671톤에 달한다는 것이다.
실제 수도권매립지에 반입되는 폐기물 중 건설폐기물은 42.1%로 생활폐기물(생활폐기물+사업장 생활계)보다 많다. 매립 폐기물로 따져도 인구는 경기도(1154만명)보다 적은 1029만명이면서 차지하는 비중은 44.2%로 경기도(39.2%)를 능가한다.
염형철 처장은 “서울시의 지속가능한 도시정책, CO₂감축을 위한 노력은 과도한 재개발과 불필요한 공사를 줄이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무분별하고 조급한 개발계획을 제어하기 위해 재개발 불로소득을 공적으로 회수해야 한다”며 국가와 지자체에 의해 이루어지는 개발 보금자리주택이나 한강르네상스 등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염형철 처장은 스웨덴 말뫼 등 환경 선진 도시 사례에 비추어 서울시가 환경을 고려한 섬세함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선진도시는 보행로 도로변 건물면에서 빗물을 지하에 충전, 지하수위를 보전하고 홍수량 조절 등을 고려하는 반면 서울시는 이에 역행하고 있다는 것. 대표적 사례로 지적된 것이 광화문광장이나 한강특화공원 등이다. 콘크리트로 바닥을 마감하고 철 구조물을 덧입혀 위에 화강석을 붙이는 방식으로 조성했기 때문이다.
진상현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기후변화센터 부연구위원은 서울시가 주창하는 디자인이 건물보다 도시 전체에 우선 적용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진 위원은 “도시 내 건물 배치를 어떻게 할 것인지, 사람들 움직임은 어떤지 등을 우선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진 위원은 이와 함께 서울시에서 친환경 건축물에 대해 집행하는 취·등록세 감면이나 건물 에너지합리화 지원비 등이 대형건물·대기업 위주로 진행된다며 실질적으로 에너지 낭비가 가장 큰 저소득층 낙후된 가구 증개축에 대한 지원이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진명 기자 jmkim@naie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