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증권시장 위기설이 나돌고 있다. 일부에선 붕괴설 마저 나오고 있다. 위기설 붕괴설 모두 진원지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나름대로 설득력 있는 근거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코스닥시장분위기는 흉흉하다.
코스닥위기설의 출발점은 감사원의 벤처기업 대출관련 비리 적발. 단순한 비리적발이 아닌 존폐가 불투명한 벤처기업에 무리하게 대출을 해준 데 대한 일종의 경고였다는 해석이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벤처기업의 도산을 우려해야 할만큼 최근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사채업자 등 코스닥시장 큰손들의 코스닥 이탈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고 있다.
프리코스닥과 코스닥에서 물린 일부 사채업자들이 돈줄이 고갈되면서 그동안 벤처기업의 자금줄이자 도산을 막아주던 방패막이가 사라졌다는 얘기다.
때문에 감사원의 벤처기업 대출비리 적발은 앞으로 닥칠지 모를 코스닥시장의 위기 내지는 붕괴에 대한 책임 회피용 단기 처방이라는 게 붕괴설의 주요 골자이자 독해법.
코스닥시장 붕괴설은 또 확대 재생산되며 거래소로까지 불똥이 튀고 있다. 사채자금의 코스닥 철수와 고갈로 코스닥 주요기업들의 도산과 추락이 불가피해지는 상황이 이어진다면 거래소시장도 침체 내지 붕괴할 수밖에 없다는 논리다.
더불어 코스닥에 잠겨있던 공적자금마저 회수가 어려워지고 결국엔 심각한 금융위기가 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한편 코스닥 붕괴설을 보는 전문가들의 시각이 크게 엇갈리고 있다.
코스닥시장의 폭락을 유발시켜 저가에 매수하려는 작전세력들의 음모로 치부하는 한편 붕괴까지는 아니더라도 거품이 여전히 많은 벤처와 코스닥에 대한 일종의 경종이며 5% 생존설이 현실화되면서 불거져 나오고 있는 것이라는 주장이 만만찮게 제기되고 있다.
◇음모론적 접근=명동에서 기업을 상대로 사금융업을 하고 있는 사채시장 한 관계자는 “사채업자들이 실제 코스닥에서 많이 물렸는지는 잘 확인되지 않지만 보통의 사채업자라면 벌써 투자자금을 회수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다른 건 몰라도 사채업자들의 자금이 고갈돼 벤처기업의 줄도산이 우려된다는 얘기는 사실이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일부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코스닥과 프리코스닥에 투자한 사채업자들과 대기업들이 명동 사채시장을 통해 코스닥에 투자해 실패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라며 “위기설 또는 붕괴설을 시중에 흘려 주가를 지금보다 더 하락시킨 후 매수하려는 작전세력들의 음모 같은 얘기”라며 코스닥 붕괴설을 일축했다.
◇정부 코스닥 손떼나=최근 코스닥시장에선 검찰의 작전세력에 대한 조사나 검거가 많아진 것은 사실. 코스닥이 한창 활황을 보일 때면 몰라도 지금 같은 침체기에 검찰의 작전 조사는 결국 정부가 코스닥시장 살리기에서 손을 뗀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낳게 한다.
특히 벤처기업에 대한 맹목적인 투자가 사실상 실패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정도여서 정부의 벤처대책에 더 이상 기대할 것도 없다는 게 현실이다.
여기에 최근 정부가 저금리정책과 건설경개부양에 전력하고 있어 코스닥시장이 상대적으로 수혜가 적고 투자자들의 관심권에서도 멀어지고 있다.
이런 점들을 종합해 볼 때 현 정부가 출범 초창기 정책의 핵심이었던 벤처기업 육성과 코스닥활황 부분을 사실상 포기한 것으로 비춰지면서 코스닥 위기설 내지는 붕괴설이 나돌고 있는 게 아니냐는 게 증시 일각의 관측이다.
◇거품 아직도 남아있다=증권업계 한 애널리스트는 “일부 코스닥등록 기업 주가는 수십만에서 수백만원을 호가하고 있는데 아직도 벤처와 코스닥 거품이 꺼지지 않았다는 단적인 예”라며 “정보기술 산업은 물론 벤처업계의 경영정상화는 갈수록 힘들어 지고 내년까지도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기는 힘들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나도는 코스닥 붕괴론은 코스닥과 벤처 거품론이 한창 나왔을 당시 ‘벤처기업의 5%밖에 살아남기 힘들다’는 주장과 일맥상통하며 현실화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증권업계는 코스닥시장은 아직 남아있는 주가거품이 더 빠져야 정부의 정책이 제대로 시장에 반영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또 정부가 자금과 인력등 그동안 지나치게 벤처와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위해 편향된 지원을 했지만 결과가 지금보다 나빠질 경우 책임론 제기도 불가필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코스닥위기설의 출발점은 감사원의 벤처기업 대출관련 비리 적발. 단순한 비리적발이 아닌 존폐가 불투명한 벤처기업에 무리하게 대출을 해준 데 대한 일종의 경고였다는 해석이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벤처기업의 도산을 우려해야 할만큼 최근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사채업자 등 코스닥시장 큰손들의 코스닥 이탈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고 있다.
프리코스닥과 코스닥에서 물린 일부 사채업자들이 돈줄이 고갈되면서 그동안 벤처기업의 자금줄이자 도산을 막아주던 방패막이가 사라졌다는 얘기다.
때문에 감사원의 벤처기업 대출비리 적발은 앞으로 닥칠지 모를 코스닥시장의 위기 내지는 붕괴에 대한 책임 회피용 단기 처방이라는 게 붕괴설의 주요 골자이자 독해법.
코스닥시장 붕괴설은 또 확대 재생산되며 거래소로까지 불똥이 튀고 있다. 사채자금의 코스닥 철수와 고갈로 코스닥 주요기업들의 도산과 추락이 불가피해지는 상황이 이어진다면 거래소시장도 침체 내지 붕괴할 수밖에 없다는 논리다.
더불어 코스닥에 잠겨있던 공적자금마저 회수가 어려워지고 결국엔 심각한 금융위기가 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한편 코스닥 붕괴설을 보는 전문가들의 시각이 크게 엇갈리고 있다.
코스닥시장의 폭락을 유발시켜 저가에 매수하려는 작전세력들의 음모로 치부하는 한편 붕괴까지는 아니더라도 거품이 여전히 많은 벤처와 코스닥에 대한 일종의 경종이며 5% 생존설이 현실화되면서 불거져 나오고 있는 것이라는 주장이 만만찮게 제기되고 있다.
◇음모론적 접근=명동에서 기업을 상대로 사금융업을 하고 있는 사채시장 한 관계자는 “사채업자들이 실제 코스닥에서 많이 물렸는지는 잘 확인되지 않지만 보통의 사채업자라면 벌써 투자자금을 회수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다른 건 몰라도 사채업자들의 자금이 고갈돼 벤처기업의 줄도산이 우려된다는 얘기는 사실이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일부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코스닥과 프리코스닥에 투자한 사채업자들과 대기업들이 명동 사채시장을 통해 코스닥에 투자해 실패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라며 “위기설 또는 붕괴설을 시중에 흘려 주가를 지금보다 더 하락시킨 후 매수하려는 작전세력들의 음모 같은 얘기”라며 코스닥 붕괴설을 일축했다.
◇정부 코스닥 손떼나=최근 코스닥시장에선 검찰의 작전세력에 대한 조사나 검거가 많아진 것은 사실. 코스닥이 한창 활황을 보일 때면 몰라도 지금 같은 침체기에 검찰의 작전 조사는 결국 정부가 코스닥시장 살리기에서 손을 뗀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낳게 한다.
특히 벤처기업에 대한 맹목적인 투자가 사실상 실패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정도여서 정부의 벤처대책에 더 이상 기대할 것도 없다는 게 현실이다.
여기에 최근 정부가 저금리정책과 건설경개부양에 전력하고 있어 코스닥시장이 상대적으로 수혜가 적고 투자자들의 관심권에서도 멀어지고 있다.
이런 점들을 종합해 볼 때 현 정부가 출범 초창기 정책의 핵심이었던 벤처기업 육성과 코스닥활황 부분을 사실상 포기한 것으로 비춰지면서 코스닥 위기설 내지는 붕괴설이 나돌고 있는 게 아니냐는 게 증시 일각의 관측이다.
◇거품 아직도 남아있다=증권업계 한 애널리스트는 “일부 코스닥등록 기업 주가는 수십만에서 수백만원을 호가하고 있는데 아직도 벤처와 코스닥 거품이 꺼지지 않았다는 단적인 예”라며 “정보기술 산업은 물론 벤처업계의 경영정상화는 갈수록 힘들어 지고 내년까지도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기는 힘들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나도는 코스닥 붕괴론은 코스닥과 벤처 거품론이 한창 나왔을 당시 ‘벤처기업의 5%밖에 살아남기 힘들다’는 주장과 일맥상통하며 현실화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증권업계는 코스닥시장은 아직 남아있는 주가거품이 더 빠져야 정부의 정책이 제대로 시장에 반영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또 정부가 자금과 인력등 그동안 지나치게 벤처와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위해 편향된 지원을 했지만 결과가 지금보다 나빠질 경우 책임론 제기도 불가필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