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 인사비리와 관련해 공정택 전 교육감이 검찰에 출석했다. 서울서부지검 형사5부(부장검사 이성윤)는 19일 공 전 교육감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했다.
검찰은 공 전 교육감을 상대로 승진 대상 교원들의 근무성적 평정 조작을 직접 지시했는지, 그 대가로 금품을 받았는지를 집중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검찰은 이미 구속 기소된 장 모(59) 전 시교육청 인사담당 장학관이 2008~2009년 장학사와 교감 26명의 근무성적평정을 조작해 부정 승진시켰다는 감사원 감사 결과를 넘겨받아 공 전 교육감이 이에 관여했는지를 조사해왔다. 검찰은 이들 인사를 최종 결재한 공 전 교육감이 장 전 장학관의 상급자인 김 모(60 구속기소) 전 시교육청 교육정책국장으로부터 금품을 건네받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계좌추적을 벌여왔다.
소환에 앞서 검찰은 김 국장으로부터 지난해 9월 장학사 승진과 관련해 임 모(51 구속기소) 전 장학사한테 받은 2000만원을 공 전 교육감에게 전달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금까지 김 전 국장은 강남 ㅊ고교 교장으로 옮긴 장 모 전 장학관에게 돈을 마련해달라고 한 뒤 임 모 전 장학사를 통해 받은 2000만원의 사용처에 대해 함구해왔다. 그러나 17일 검찰이 금품수수 혐의로 김 전 국장의 부인인 송파 ㅈ고교 임 모 교장을 체포해 조사하자 이 같은 사실을 털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임 교장은 감사원이 통보한 부정승진 의혹 대상자 26명에 속해 있을뿐더러 서울 모 중학교 이 모 교장으로부터 청탁과 함께 돈을 받은 혐의로 수사선상에 올랐었다.
검찰은 김 전 국장이 진술한 2000만원 외에도 공 전 교육감이 또 다른 금품을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제기되는 의혹 전반에 대해 조사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국장과 함께 최측근 인물로 평가됐던 목 모 전 교육정책국장(63 구속)이 받은 2000만원도 공 전 교육감에게 건네졌을 개연성이 있다는 것이다. 목 전 국장은 2007년 8월부터 2009년 7월까지 교육정책국장을 맡았고 이후에 김 전 국장이 그 자리를 이어 받았다.
검찰 관계자는 “감사원 감사 결과 등 인사비리와 관련한 모든 의혹을 조사했지만 일부에서 거론하고 있는 선거비용은 그 대상이 아니다”고 밝혔다.
선상원 기자 w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검찰은 공 전 교육감을 상대로 승진 대상 교원들의 근무성적 평정 조작을 직접 지시했는지, 그 대가로 금품을 받았는지를 집중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검찰은 이미 구속 기소된 장 모(59) 전 시교육청 인사담당 장학관이 2008~2009년 장학사와 교감 26명의 근무성적평정을 조작해 부정 승진시켰다는 감사원 감사 결과를 넘겨받아 공 전 교육감이 이에 관여했는지를 조사해왔다. 검찰은 이들 인사를 최종 결재한 공 전 교육감이 장 전 장학관의 상급자인 김 모(60 구속기소) 전 시교육청 교육정책국장으로부터 금품을 건네받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계좌추적을 벌여왔다.
소환에 앞서 검찰은 김 국장으로부터 지난해 9월 장학사 승진과 관련해 임 모(51 구속기소) 전 장학사한테 받은 2000만원을 공 전 교육감에게 전달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금까지 김 전 국장은 강남 ㅊ고교 교장으로 옮긴 장 모 전 장학관에게 돈을 마련해달라고 한 뒤 임 모 전 장학사를 통해 받은 2000만원의 사용처에 대해 함구해왔다. 그러나 17일 검찰이 금품수수 혐의로 김 전 국장의 부인인 송파 ㅈ고교 임 모 교장을 체포해 조사하자 이 같은 사실을 털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임 교장은 감사원이 통보한 부정승진 의혹 대상자 26명에 속해 있을뿐더러 서울 모 중학교 이 모 교장으로부터 청탁과 함께 돈을 받은 혐의로 수사선상에 올랐었다.
검찰은 김 전 국장이 진술한 2000만원 외에도 공 전 교육감이 또 다른 금품을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제기되는 의혹 전반에 대해 조사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국장과 함께 최측근 인물로 평가됐던 목 모 전 교육정책국장(63 구속)이 받은 2000만원도 공 전 교육감에게 건네졌을 개연성이 있다는 것이다. 목 전 국장은 2007년 8월부터 2009년 7월까지 교육정책국장을 맡았고 이후에 김 전 국장이 그 자리를 이어 받았다.
검찰 관계자는 “감사원 감사 결과 등 인사비리와 관련한 모든 의혹을 조사했지만 일부에서 거론하고 있는 선거비용은 그 대상이 아니다”고 밝혔다.
선상원 기자 w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