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 전세계 전쟁 여론작업 성공리에 마무리

지역내일 2001-09-14
나토 ‘공동작전 OK’ 사인 … 러시아·회교도 지지

미국은 전쟁을 위한 필수조건으로 심혈을 기울인 세계여론을 전폭적으로 등에 업었다. 미국이 당한 테러 대참사가 상상을 초월하는 것이었던 만큼, 세계 각국들은 전쟁을 거부할 만한 명분을 찾지 못했고, 미국은 그 점을 정확하게 이용했다. 핵폭탄을 사용하지 않는 한 미국의 분노에 토를 달 나라는 없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미국은 전쟁의 당위성과 전략적인 요충지를 확보하기 위해 유럽과 러시아 중국 및 중동지역의 지지를 얻어내는 일에 큰 비중을 두었다. 이는 미국이 감행하는 보복전쟁이 어느 정도 불길을 뿜어낼 것인지를 짐작하게 하는 중요한 한 단서가 되기도 하다.
◇전쟁 정당성 확보 위한 여론 정지 작업=부시는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로부터 ‘공동군사작전’을 전개한다는 협조를 만장일치로 얻어낸 데 이어 유엔 5개 상임이사국들로부터도 사실상 ‘전쟁OK’ 사인을 받아냈다.
나토는 12일 오후 브뤼셀에서 테러 대참사 후 3번째 긴급비상회의를 갖고 성명을 통해 미국에 대한 연쇄테러를 동맹국 전체에 대한 공격행위로 간주키로 했다. 나토 회원 18개 상주 대표들은 이번 테러가 외부에 의한 공격으로 판명될 경우 동맹 전체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 공동군사작전을 가능케 하는 ‘제5조’ 이른바 ‘올 포 원’(all-for-one)을 적용키로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제5조는 49년 나토 설립 때 제정됐으나 여태까지 한번도 적용된 적이 없다.
나토의 동맹조약 제5조 적용 결의에 앞서, 부시는 각국 정상들에게 전화를 걸어 지지를 호소했다.
보복공격 때 제5조가 발효되더라도 실제 군사작전에 참여하는 나라는 영국 프랑스 등 극히 일부 국가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독일은 13일 “자발적으로는 군사작전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으며, 이런 입장은 다른 대부분의 나토 회원국도 마찬가지다.
미국은 군사작전의 실질적 지원보다는 여론의 지지를 이끌어내는 지렛대로 나토를 활용했다.
미국은 5개 유엔상임이사국들로부터도 ‘전쟁OK’사인을 받았다. 부시대통령은 이들 국가 정상에도 전화를 걸어 지지 입장을 확인한 것으로 언론은 전하고 있다.
부시는 13일 백악관에서 간단한 기자회견을 갖고 “다수의 외국지도자들과 대화해 전폭적인 지지 입장을 확인했다”면서 “러시아 중국 등과도 대화를 나누었다”고 밝혔다. 중국도 러시아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에 전폭적인 지지를 보냈다. 심지어 회교권 국가에게서도 전쟁 지지 입장을 확보한 것은 ‘상당한 수준’을 넘어선 대규모로 보복이 감행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부시는 참사 직후 백악관에서 집무를 하는 대신 다른 곳에서 10시간 정도 전전, 겁쟁이라는 비난을 받았다. 그러나 부시 정부가 초강경 입장을 고수, 13일 현재 미국국민 83%(미 NBC여론조사)로부터 ‘강력한 군사 행동’지지를 얻고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