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시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대외적으로 ‘소각장 문제가 심각한 도시’로 알려질 만큼 소각장 건립을 둘러싸고 시와 시민들간에 심각한 갈등을 겪어왔다.
8년여의 기간동안 입지선정문제부터 소각용량문제 등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소각장은 지난 6월 21일 완공됐다. 군포시민이 배출한 쓰레기를 처리하는 문제는 군포시의 몫이기 때문에 소각장은 어찌보면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다.
소각장 완공 이후 시민들은 본격적인 소각장 가동에 앞서 보다 철저한 점검과 관리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산본신도시에 사는 박소윤씨는 최근 동아닷컴 넷칼럼에서 “그 시끄럽던 소각장이 벌써 가동에 들어간다니 걱정도 되지만 솔직히 우리 자신이 만들어낸 쓰레기를 스스로 처리하지 않으면 어쩌겠나.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소각장 가동에 앞서 보다 철저한 점검과 관리체계가 자리잡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주민지원협의체와 군포시는 이미 가동에 들어간 소각장의 안전가동에 필요한 장치마련은 뒷전인 채 아직도 곳곳에서 명분싸움, 힘겨루기 양상을 보이며 대립하고 있다.
특히, 소각장 가동 전 실시할 계획이었던 안전도성능검사는 아직 용역업체도 선정하지 못하고 있다. <관련기사 2면="">
또 완벽한 분리수거를 위한 시민홍보나 수거체계, 소각장 운영·관리에 주민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여건도 제대로 마련하지 못한 상태다.
◇ 소각장 폐쇄냐, 안전가동이냐 = 아직도 갈등을 겪는 이유는 불신 때문이다. 주민지원협의체가 시 행정을 불신하고 있는 반면, 시는 소각장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제동만 걸려고 한다는 시각을 갖고 있다.
이와 관련, 군포시 관계자는 “아직도 소각장 폐쇄를 원하는지, 진정으로 소각장의 안전한 가동을 원하는지가 합의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주민지원협의체 한 위원도 “그동안 소각장 건립반대를 외쳐왔지만 현실적으로 소각장 가동을 인정한다면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고 소각장을 안전하게 가동하는 게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시와 주민지원협의체 모두 소각장 안전가동을 최우선의 과제로 놓고 우선 서로가 해야할 일을 순차별로 정리하고 협력해 나갈 필요가 있다.
최근 소각장 감시원들이 부당한 처우와 여건에 항의하며 감시활동 중단을 선언했던 것은 시와 주민지원협의체의 소각장 안전가동을 위한 준비 수준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또 쓰레기 분리수거는 소각하는 쓰레기성상과 직결되기 때문에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다.
수원 영통소각장의 경우, 가동 이후 시는 쓰레기번지찾기운동(분리수거운동)을 강력히 전개하고 주민지원협의체는 감시활동을 강화했다.
뒤늦긴 했지만 군포시도 쓰레기 분리수거 제재방안을 마련, 6일부터 각 가정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홍보에 들어갔다.
이와 관련,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주민지원협의체가 감시원활동 등 소각장 감시체제를 강화하고 시는 주민지원기금을 확보해 원활한 활동여건을 조성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산본동에 사는 박소윤 씨는 넷칼럼에서 “이왕 필요해서 설치한 것이라면 소각장 건설이 앞으로 시의 발전을 위해 긍정적으로 작용했으면 한다”며 “이를 위해 시는 시민들의 입장을 조금만 생각해 주고, 반대로 시민들이 좀더 시를 믿는다면 문제는 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관련기사>
8년여의 기간동안 입지선정문제부터 소각용량문제 등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소각장은 지난 6월 21일 완공됐다. 군포시민이 배출한 쓰레기를 처리하는 문제는 군포시의 몫이기 때문에 소각장은 어찌보면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다.
소각장 완공 이후 시민들은 본격적인 소각장 가동에 앞서 보다 철저한 점검과 관리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산본신도시에 사는 박소윤씨는 최근 동아닷컴 넷칼럼에서 “그 시끄럽던 소각장이 벌써 가동에 들어간다니 걱정도 되지만 솔직히 우리 자신이 만들어낸 쓰레기를 스스로 처리하지 않으면 어쩌겠나.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소각장 가동에 앞서 보다 철저한 점검과 관리체계가 자리잡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주민지원협의체와 군포시는 이미 가동에 들어간 소각장의 안전가동에 필요한 장치마련은 뒷전인 채 아직도 곳곳에서 명분싸움, 힘겨루기 양상을 보이며 대립하고 있다.
특히, 소각장 가동 전 실시할 계획이었던 안전도성능검사는 아직 용역업체도 선정하지 못하고 있다. <관련기사 2면="">
또 완벽한 분리수거를 위한 시민홍보나 수거체계, 소각장 운영·관리에 주민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여건도 제대로 마련하지 못한 상태다.
◇ 소각장 폐쇄냐, 안전가동이냐 = 아직도 갈등을 겪는 이유는 불신 때문이다. 주민지원협의체가 시 행정을 불신하고 있는 반면, 시는 소각장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제동만 걸려고 한다는 시각을 갖고 있다.
이와 관련, 군포시 관계자는 “아직도 소각장 폐쇄를 원하는지, 진정으로 소각장의 안전한 가동을 원하는지가 합의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주민지원협의체 한 위원도 “그동안 소각장 건립반대를 외쳐왔지만 현실적으로 소각장 가동을 인정한다면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고 소각장을 안전하게 가동하는 게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시와 주민지원협의체 모두 소각장 안전가동을 최우선의 과제로 놓고 우선 서로가 해야할 일을 순차별로 정리하고 협력해 나갈 필요가 있다.
최근 소각장 감시원들이 부당한 처우와 여건에 항의하며 감시활동 중단을 선언했던 것은 시와 주민지원협의체의 소각장 안전가동을 위한 준비 수준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또 쓰레기 분리수거는 소각하는 쓰레기성상과 직결되기 때문에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다.
수원 영통소각장의 경우, 가동 이후 시는 쓰레기번지찾기운동(분리수거운동)을 강력히 전개하고 주민지원협의체는 감시활동을 강화했다.
뒤늦긴 했지만 군포시도 쓰레기 분리수거 제재방안을 마련, 6일부터 각 가정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홍보에 들어갔다.
이와 관련,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주민지원협의체가 감시원활동 등 소각장 감시체제를 강화하고 시는 주민지원기금을 확보해 원활한 활동여건을 조성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산본동에 사는 박소윤 씨는 넷칼럼에서 “이왕 필요해서 설치한 것이라면 소각장 건설이 앞으로 시의 발전을 위해 긍정적으로 작용했으면 한다”며 “이를 위해 시는 시민들의 입장을 조금만 생각해 주고, 반대로 시민들이 좀더 시를 믿는다면 문제는 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관련기사>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