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갈∼안산고속도로 동수원IC와 수원 월드컵도로를 연결하는 신설도로의 건설계획이 도로 편입 땅 주인들의 반발로 난항을 겪고있다.
이로인해 당초 월드컵축구대회 개막 이전에 개통하려던 경기도와 수원시의 계획이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14일 수원시에 따르면 시와 경기도는 동수원IC 주변의 차량 상습정체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동수원IC∼월드컵축구 전용구장을 잇는 월드컵도로와 동수원IC를 직접 연결하는 도로를 신설키로 했다.
신설 도로는 길이 830m, 너비 10m의 편도 2차선으로 시는 도비와 시비 67억원을 들여 월드컵대회 이전 개통 목표로 실시설계와 토지보상 등을 서둘러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신설 도로에 편입되는 땅 주인들은 이 도로가 월드컵도로에서 동수원IC로 진입하는 일방통행도로로 월드컵대회 이후 활용가치가 없다는 점을 이유로 도로신설을 반대하고 나섰다.
주민들은 또 성토를 통해 도로를 5∼10m 높이로 높임으로써 지역 환경을 해치고 토지이용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에따라 건교부는 최근 시가 지난달 8일 한국도로공사를 경유해 건설교통부에 제출한 고속도로연결허가 신청에 대해 땅 주인들과의 민원을 해결한 뒤 연결허가 신청을 하라며 반려했다.
게다가 도로개설에 필요한 양쪽 9000여평의 부지매입비와 촉박한 공사기간도 월드컵축구대회 이전 개통을 어렵게 하고 있다.
시는 월드컵도로를 지난 4월말 개통했으나 한국도로공사가 동수원IC를 개방형(무료)에서 폐쇄형(유료)으로 전환하기 위해 기존 IC를 폐쇄하고 400m 떨어진 곳에 새로운 IC를 건설, 두 도로가 직접 연결되지 못한 채 어긋나게 됐다.
이로 인해 신갈∼안산고속도로에서 나온 차량들이 좌회전 신호를 받고 국도 43호선을 400여m 타고 용인시 수지읍 방향으로 달리다가 월드컵도로로 진입해 야 하는 등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특히 이 연결도로의 건설이 차질을 빚을 경우 월드컵대회기간에 이곳을 이용하는 차량들로 극심한 교통혼잡을 초래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수원 정흥모 기자hmchung@naeil.com
이로인해 당초 월드컵축구대회 개막 이전에 개통하려던 경기도와 수원시의 계획이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14일 수원시에 따르면 시와 경기도는 동수원IC 주변의 차량 상습정체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동수원IC∼월드컵축구 전용구장을 잇는 월드컵도로와 동수원IC를 직접 연결하는 도로를 신설키로 했다.
신설 도로는 길이 830m, 너비 10m의 편도 2차선으로 시는 도비와 시비 67억원을 들여 월드컵대회 이전 개통 목표로 실시설계와 토지보상 등을 서둘러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신설 도로에 편입되는 땅 주인들은 이 도로가 월드컵도로에서 동수원IC로 진입하는 일방통행도로로 월드컵대회 이후 활용가치가 없다는 점을 이유로 도로신설을 반대하고 나섰다.
주민들은 또 성토를 통해 도로를 5∼10m 높이로 높임으로써 지역 환경을 해치고 토지이용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에따라 건교부는 최근 시가 지난달 8일 한국도로공사를 경유해 건설교통부에 제출한 고속도로연결허가 신청에 대해 땅 주인들과의 민원을 해결한 뒤 연결허가 신청을 하라며 반려했다.
게다가 도로개설에 필요한 양쪽 9000여평의 부지매입비와 촉박한 공사기간도 월드컵축구대회 이전 개통을 어렵게 하고 있다.
시는 월드컵도로를 지난 4월말 개통했으나 한국도로공사가 동수원IC를 개방형(무료)에서 폐쇄형(유료)으로 전환하기 위해 기존 IC를 폐쇄하고 400m 떨어진 곳에 새로운 IC를 건설, 두 도로가 직접 연결되지 못한 채 어긋나게 됐다.
이로 인해 신갈∼안산고속도로에서 나온 차량들이 좌회전 신호를 받고 국도 43호선을 400여m 타고 용인시 수지읍 방향으로 달리다가 월드컵도로로 진입해 야 하는 등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특히 이 연결도로의 건설이 차질을 빚을 경우 월드컵대회기간에 이곳을 이용하는 차량들로 극심한 교통혼잡을 초래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수원 정흥모 기자hmchu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