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세난이 심화되는 가운데 서울지역 전세가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7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 114에 따르면 서울 지역 아파트 전세가는 3.3㎡당 706만원(2일 기준)으로 집계됐다.
부동산114는 전세가 추이를 조사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최고치다. 지난해 1월(609만원)과 비교해서는 100만원(15.43%) 가까이 올랐다.
강남구의 전세가는 3.3㎡당 1080만원으로 서울 지역에서 사장 높았다. 이는 지난해 1월과 비교해 16.7%(928만원) 상승한 것이다. 송파구는 같은 기간에 631만원에서 861만원으로 33.71% 뛰었다. ‘학군 수요’가 몰리는 광진구도 같은 기간에 630만원에서 788만원으로 25.06% 양천구는 684만원에서 776만원으로 13.72% 올랐다.경기도는 340만원에서 370만원으로 9.16% 뛰었다. 경기도에서는 과천이 39.87% 오른 900만원으로 최고가와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러한 아파트 전셋값 상승은 오피스텔로 확산되고 있다. 올 1분기 전국 오피스텔 전세가격은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 1.09% 상승했다. 이는 올해 들어 아파트 전세에서 수요 대비 공급 물량이 줄어들자 1∼2인 가구나 신혼부부를 중심으로 수요가 대거 오피스텔로 몰렸기 때문이다.
서울은 전셋값이 전체적으로 1.23% 올랐는데 영등포구(1.61%), 서초구(1.19%), 강남구(0.56%)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월세는 같은 기간에 전국에서 작년 4분기 대비 0.38% 상승했는데 서울은 0.48% 높아졌고 경기와 인천은 각각 0.12%, 0.20% 올랐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7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 114에 따르면 서울 지역 아파트 전세가는 3.3㎡당 706만원(2일 기준)으로 집계됐다.
부동산114는 전세가 추이를 조사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최고치다. 지난해 1월(609만원)과 비교해서는 100만원(15.43%) 가까이 올랐다.
강남구의 전세가는 3.3㎡당 1080만원으로 서울 지역에서 사장 높았다. 이는 지난해 1월과 비교해 16.7%(928만원) 상승한 것이다. 송파구는 같은 기간에 631만원에서 861만원으로 33.71% 뛰었다. ‘학군 수요’가 몰리는 광진구도 같은 기간에 630만원에서 788만원으로 25.06% 양천구는 684만원에서 776만원으로 13.72% 올랐다.경기도는 340만원에서 370만원으로 9.16% 뛰었다. 경기도에서는 과천이 39.87% 오른 900만원으로 최고가와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러한 아파트 전셋값 상승은 오피스텔로 확산되고 있다. 올 1분기 전국 오피스텔 전세가격은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 1.09% 상승했다. 이는 올해 들어 아파트 전세에서 수요 대비 공급 물량이 줄어들자 1∼2인 가구나 신혼부부를 중심으로 수요가 대거 오피스텔로 몰렸기 때문이다.
서울은 전셋값이 전체적으로 1.23% 올랐는데 영등포구(1.61%), 서초구(1.19%), 강남구(0.56%)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월세는 같은 기간에 전국에서 작년 4분기 대비 0.38% 상승했는데 서울은 0.48% 높아졌고 경기와 인천은 각각 0.12%, 0.20% 올랐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