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적으로 내용="" 보강,="" 전교조="" 등="" 반응="" 추가="">>특목고.비평준화.자율학교 지역 성적 높아
(서울=연합뉴스) 이준삼 기자 = 14일 공개된 201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분석 결과는 작년 처음 공개된 2005∼2009학년도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다.
서울보다 제주와 광주 등의 성적이 여전히 높고 자립형 사립고나 국제고, 외국어고 등 특수목적고가 있는 시군구의 성적이 다른 지역을 압도했다.
교육계 안팎에서는 `평준화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고, 지역 간 학력차는 `학교 교육 효과''가 아닌 `학생 선발 효과''를 반영한 것일 뿐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제주·광주, 서울 앞질러 = 영역별 표준점수 평균이 높은 곳은 제주와 광주.
제주와 광주는 언어 104.7점ㆍ104.6점, 수리가 105.6점ㆍ104.6점, 수리나 104.9점ㆍ104.6점, 외국어 104.8점ㆍ104.3점으로 나란히 1, 2위에 올랐다.가장 점수가 낮은 곳과 비교해 언어 5.5점, 수리가 12.8점, 수리나 7.4점, 외국어 6.9점 높은 것이다.두 곳은 2005∼2009학년도 분석에서도 성적이 으뜸이었다.이들 지역이 이처럼 수년간 좋은 성적을 거둔 것은 학교 규모, 성격,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전문가들은 평가한다.그러나 제주의 경우 서귀포시가 비평준화 지역이고 평준화 지역인 제주시도 학생 희망을 받아 고교 배정을 한다는 점, 또 광주는 사립고 비율이 70%가 넘는다는 점 등이 성적 상승에 적잖은 도움을 줬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사교육 특구''가 밀집한 서울은 영역별로 100∼102점을 기록해 전체적으로 중하위권(6∼11위)에 머물렀다.서울지역의 표준점수가 낮은 것은 학생이 많고 실력 차이(표준편차)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울의 표준편차는 언어 19.8점, 수리가 19.0점, 수리나 20.3점, 외국어 20.5점등으로 수리가를 제외하면 전국적으로 가장 높았고 광주, 제주 등과 2∼3점가량 차이를 보였다.
◇성적 좋은 시군구 공통점은 = 시군구 단위 분석에서 좋은 성적표를 받아든 곳은 서울 강남권을 제외하면 외고 등 특목고가 있는 소재지나 비평준화 지역이다.1등급 비율 상위 30개 시군구에는 경기 의왕시, 충남 공주시, 전남 장성군, 부산 연제구, 해운대구, 경남 거창군, 대구 수성구, 강원 횡성군, 광주 남구 등이 포진해 있으며, 이들 지역은 대체로 `표준점수 상위 30개 시군구''에도 들었다.
부산 연제구와 해운대구, 대구 수성구, 광주 남구, 경기 과천시 등은 작년 수능성적 분석 때도 5년 연속 3개 영역에서 상위 20% 안에 들어간 지역으로 모두 특목고나 자사고를 끼고 있다.
횡성에는 자사고인 민족사관고가 있고 공주시는 대표적 비평준화 지역으로 꼽히는 곳이다. 장성의 유일한 사립고는 3년 전부터 자율학교로 지정돼 전국 단위로 학생을 뽑는다.거창 역시 전국 단위 기숙형 자율학교가 있어 다른 평준화 지역과는 다르고, 또다른 성적 우수 지역인 경기 가평에는 청심국제고가 있다.
시군구 단위 수능성적에는 지역 여건과 학교 특성, 모집단위, 입학성적 등이 복잡하게 반영되지만, 해당 지역 학교에 학생선발권이 있느냐가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전문가들은 공통으로 분석한다.한편, 서울은 표준점수 상위 30위에 강남, 서초구 등 3∼4곳이 들어갔지만 `1등급 비율 상위지역''에 강남권을 포함 10개 가까운 지역이 포함돼 다른 지역보다 상위권 학생이 많음을 뒷받침했다.◇평준화 논쟁 재연될까 = 지역별 수능성적이 지난해에 이어 적나라하게 공개되고 지역·학교 간 격차가 엄연한 사실로 확인됨에 따라 30여년간 유지돼온 평준화 정책을 둘러싼 논쟁이 다시 불붙을 공산도 있다.학생 선발권을 가진 특목고, 자사고 등이 우수 학생을 선점하고 있고 이들 학교가 속한 지역의 성적이 월등한데다 서울 등 대도시 평준화 지역에도 특목고 등이 들어서는 상황에서 더는 평준화 체제가 무의미하다는 목소리도 일각에서 나온다.
1974년 도입된 이 정책은 학교별 선발 방식이 아닌 학군별 배정을 통해 고교에 진학하도록 한 제도로, 어느 지역에서 학교에 다니든 똑같은 여건과 환경에서 공부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 근본 취지다.
이 제도가 고입 과열 방지라는 성과를 거둔 만큼 이제는 하향평준화로 가기보다학교 간 자율적인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전체 학력을 끌어올리고 학력 격차를 줄이는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게 평준화 무용론자들의 주장이다.
반면 지역 간 학력 격차는 학교가 잘 가르치고 못 가르치느냐의 문제뿐 아니라 우수 학생을 뽑았느냐 그렇지 못했느냐에도 상당 부분 기인하고 있어 평준화 제도가학력 저하로 이어진다는 것은 섣부른 결론이라는 반론도 많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이날 논평을 내고 "표준점수 상위 지역 대부분 특목고나 자사고를 끼고 있다는 것은 지역 격차가 `선발 효과''에 따른 것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이런 방식의 성적 공개는 학력이 떨어지는 지역이나 학교에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jslee@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전반적으로>
(서울=연합뉴스) 이준삼 기자 = 14일 공개된 201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분석 결과는 작년 처음 공개된 2005∼2009학년도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다.
서울보다 제주와 광주 등의 성적이 여전히 높고 자립형 사립고나 국제고, 외국어고 등 특수목적고가 있는 시군구의 성적이 다른 지역을 압도했다.
교육계 안팎에서는 `평준화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고, 지역 간 학력차는 `학교 교육 효과''가 아닌 `학생 선발 효과''를 반영한 것일 뿐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제주·광주, 서울 앞질러 = 영역별 표준점수 평균이 높은 곳은 제주와 광주.
제주와 광주는 언어 104.7점ㆍ104.6점, 수리가 105.6점ㆍ104.6점, 수리나 104.9점ㆍ104.6점, 외국어 104.8점ㆍ104.3점으로 나란히 1, 2위에 올랐다.가장 점수가 낮은 곳과 비교해 언어 5.5점, 수리가 12.8점, 수리나 7.4점, 외국어 6.9점 높은 것이다.두 곳은 2005∼2009학년도 분석에서도 성적이 으뜸이었다.이들 지역이 이처럼 수년간 좋은 성적을 거둔 것은 학교 규모, 성격,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전문가들은 평가한다.그러나 제주의 경우 서귀포시가 비평준화 지역이고 평준화 지역인 제주시도 학생 희망을 받아 고교 배정을 한다는 점, 또 광주는 사립고 비율이 70%가 넘는다는 점 등이 성적 상승에 적잖은 도움을 줬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사교육 특구''가 밀집한 서울은 영역별로 100∼102점을 기록해 전체적으로 중하위권(6∼11위)에 머물렀다.서울지역의 표준점수가 낮은 것은 학생이 많고 실력 차이(표준편차)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울의 표준편차는 언어 19.8점, 수리가 19.0점, 수리나 20.3점, 외국어 20.5점등으로 수리가를 제외하면 전국적으로 가장 높았고 광주, 제주 등과 2∼3점가량 차이를 보였다.
◇성적 좋은 시군구 공통점은 = 시군구 단위 분석에서 좋은 성적표를 받아든 곳은 서울 강남권을 제외하면 외고 등 특목고가 있는 소재지나 비평준화 지역이다.1등급 비율 상위 30개 시군구에는 경기 의왕시, 충남 공주시, 전남 장성군, 부산 연제구, 해운대구, 경남 거창군, 대구 수성구, 강원 횡성군, 광주 남구 등이 포진해 있으며, 이들 지역은 대체로 `표준점수 상위 30개 시군구''에도 들었다.
부산 연제구와 해운대구, 대구 수성구, 광주 남구, 경기 과천시 등은 작년 수능성적 분석 때도 5년 연속 3개 영역에서 상위 20% 안에 들어간 지역으로 모두 특목고나 자사고를 끼고 있다.
횡성에는 자사고인 민족사관고가 있고 공주시는 대표적 비평준화 지역으로 꼽히는 곳이다. 장성의 유일한 사립고는 3년 전부터 자율학교로 지정돼 전국 단위로 학생을 뽑는다.거창 역시 전국 단위 기숙형 자율학교가 있어 다른 평준화 지역과는 다르고, 또다른 성적 우수 지역인 경기 가평에는 청심국제고가 있다.
시군구 단위 수능성적에는 지역 여건과 학교 특성, 모집단위, 입학성적 등이 복잡하게 반영되지만, 해당 지역 학교에 학생선발권이 있느냐가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전문가들은 공통으로 분석한다.한편, 서울은 표준점수 상위 30위에 강남, 서초구 등 3∼4곳이 들어갔지만 `1등급 비율 상위지역''에 강남권을 포함 10개 가까운 지역이 포함돼 다른 지역보다 상위권 학생이 많음을 뒷받침했다.◇평준화 논쟁 재연될까 = 지역별 수능성적이 지난해에 이어 적나라하게 공개되고 지역·학교 간 격차가 엄연한 사실로 확인됨에 따라 30여년간 유지돼온 평준화 정책을 둘러싼 논쟁이 다시 불붙을 공산도 있다.학생 선발권을 가진 특목고, 자사고 등이 우수 학생을 선점하고 있고 이들 학교가 속한 지역의 성적이 월등한데다 서울 등 대도시 평준화 지역에도 특목고 등이 들어서는 상황에서 더는 평준화 체제가 무의미하다는 목소리도 일각에서 나온다.
1974년 도입된 이 정책은 학교별 선발 방식이 아닌 학군별 배정을 통해 고교에 진학하도록 한 제도로, 어느 지역에서 학교에 다니든 똑같은 여건과 환경에서 공부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 근본 취지다.
이 제도가 고입 과열 방지라는 성과를 거둔 만큼 이제는 하향평준화로 가기보다학교 간 자율적인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전체 학력을 끌어올리고 학력 격차를 줄이는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게 평준화 무용론자들의 주장이다.
반면 지역 간 학력 격차는 학교가 잘 가르치고 못 가르치느냐의 문제뿐 아니라 우수 학생을 뽑았느냐 그렇지 못했느냐에도 상당 부분 기인하고 있어 평준화 제도가학력 저하로 이어진다는 것은 섣부른 결론이라는 반론도 많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이날 논평을 내고 "표준점수 상위 지역 대부분 특목고나 자사고를 끼고 있다는 것은 지역 격차가 `선발 효과''에 따른 것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이런 방식의 성적 공개는 학력이 떨어지는 지역이나 학교에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jslee@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전반적으로>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