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값 급등 여파..18곳으로 늘어나20%대 지역 한군데도 없어(서울=연합뉴스) 김범수 기자 = 올해 들어 서울의 전셋값이 급등하면서 자치구 25곳 중에서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격)이 40%를 넘는 곳이 1년새 6곳이나 늘었다.
19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최근 서울의 자치구(區)별 3.3㎡ 당 전세가율을 조사한 결과 40%를 넘는 지역이 1년전인 작년 4월에 비해 6군데 늘어난 18개 구로 집계됐다.
서울 전체 평균 전세가율은 38%로 1년전(35%)에 비해 3% 포인트 증가했다.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대문구ㆍ은평구(47%)로 나타났고 관악구, 동대문구, 성북구, 중구, 중랑구(각각 46%)가 뒤를 이었다.
자치구 중 전세가율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곳은 강서구로 1년전 보다 5%포인트 오른 41%를 기록했다.
강서구는 작년 7월 지하철 9호선 개통과 화곡 3지구 이주 수요로 인해 전세값이크게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던 것으로 분석됐다.
강남구(31%), 서초구(34%), 송파구(34%) 등 이른바 강남 3구는 전세값 급등 및 매매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다른 자치구에 비해 매매가격이 월등히 높아 전세가율은 30%대에 머물며 비교적 하위권을 기록했다.
강남 3구 외에 전세가율 30%대를 기록한 곳은 양천ㆍ영등포(38%), 강동ㆍ용산(32%)이 있었다.반면 1년전에는 전세가율이 20%대를 기록했던 곳이 강남구와 용산구(각각 29%) 등 2곳이 있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한 군데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bumsoo@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19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최근 서울의 자치구(區)별 3.3㎡ 당 전세가율을 조사한 결과 40%를 넘는 지역이 1년전인 작년 4월에 비해 6군데 늘어난 18개 구로 집계됐다.
서울 전체 평균 전세가율은 38%로 1년전(35%)에 비해 3% 포인트 증가했다.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대문구ㆍ은평구(47%)로 나타났고 관악구, 동대문구, 성북구, 중구, 중랑구(각각 46%)가 뒤를 이었다.
자치구 중 전세가율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곳은 강서구로 1년전 보다 5%포인트 오른 41%를 기록했다.
강서구는 작년 7월 지하철 9호선 개통과 화곡 3지구 이주 수요로 인해 전세값이크게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던 것으로 분석됐다.
강남구(31%), 서초구(34%), 송파구(34%) 등 이른바 강남 3구는 전세값 급등 및 매매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다른 자치구에 비해 매매가격이 월등히 높아 전세가율은 30%대에 머물며 비교적 하위권을 기록했다.
강남 3구 외에 전세가율 30%대를 기록한 곳은 양천ㆍ영등포(38%), 강동ㆍ용산(32%)이 있었다.반면 1년전에는 전세가율이 20%대를 기록했던 곳이 강남구와 용산구(각각 29%) 등 2곳이 있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한 군데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bumsoo@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