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청년세대는 전통적 제조업이나 정부가 제공하는 희망·공공근로와 같은 단순한 일자리에는 관심이 없는 글로벌·컴퓨터세대다. 이들에게 맞는 일자리는 인터넷에서 할 수 있는 사업이나 아이디어 상품개발이다. 일자리를 늘리는 길은 이들의 창업을 도와주는 것이다.”
청년창업은 최항도(사진) 서울시 경쟁력강화본부장이 밝힌 청년일자리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방안중 하나다.
아이디어를 개발해 창업으로 연결시키면 새로운 일자리가 늘어나는 결과를 가져오고 경제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다고 그는 설명한다.
서울시 ‘청년창업 1000프로젝트’(2030청년창업프로젝트에서 변경)는 창업을 주저하고 있는 청년들에게 창업환경과 다양한 지원을 통해 창업을 도와주는 사업이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청년창업프로젝트 추진 성과와 희망근로를 비교해보면 창업지원이야말로 일자리 해결의 좋은 방안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최 본부장은 “지난해 희망근로는 1인당 월평균 108만원을 지원했지만 창업자에게는 14만원 적은 평균 94만원을 지원했다”며 “창업지원은 지속적인 일자리를 만들고 추가 고용도 가능한 효과적인 고용창출 방안”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7월부터 청년창업센터에 입주한 1021개 기업 중 215개 기업이 294명을 추가 고용했다. 3월 현재 915개 기업이 강남·강북 청년창업센터에 입주해 1719명이 일하고 있다.
성과가 부진하거나 등록을 하지 않는 기업은 걸러냈다. 3개월마다 한번씩 평가해 입주기업 3%정도를 퇴출시켰다. 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경쟁원리를 도입한 것이다.
최 본부장은 “창업한 기업들이 성공하려면 최소한 3~5년의 기간이 필요하지만 1년 동안만 전폭 지원하는 것은 그 기간을 줄이는 기회로 활용하라는 뜻”이라며 “창업지원센터가 하나의 작은 시장이고 그 속에서 경쟁을 통해 생존하는 방법을 터득해야 큰 시장에 나가서도 생존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체험하도록 경쟁원리를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당초 센터 입소기간을 1년으로 정했지만 창업기업중 10%를 선발해 사무실만 1년간 추가 지원한다.
서울시는 다음달 ‘서울 창업활성화 종합 마스터플랜’을 수립할 예정이다. 청년층뿐만 아니라 조기 퇴직자 등 장년층과 여성 창업희망자에 대해서 맞춤형 창업지원체계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2030세대와 4050세대를 연결해 서로 장점을 키우고 단점을 보완해 창업성공에 한발 더 다가서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최 본부장은 “청년창업 지원은 중소기업층이 두터워야 국가 경제가 건실할 수 있다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달 30일부터 5월 10일까지 제2기 청년창업자 1000명을 선발하기 위해 접수를 받고 있다. 참여를 원하면 서울일자리플러스센터 홈페이지(job.seoul.go.kr)에서 접수하면 된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아이디어를 개발해 창업으로 연결시키면 새로운 일자리가 늘어나는 결과를 가져오고 경제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다고 그는 설명한다.
서울시 ‘청년창업 1000프로젝트’(2030청년창업프로젝트에서 변경)는 창업을 주저하고 있는 청년들에게 창업환경과 다양한 지원을 통해 창업을 도와주는 사업이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청년창업프로젝트 추진 성과와 희망근로를 비교해보면 창업지원이야말로 일자리 해결의 좋은 방안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최 본부장은 “지난해 희망근로는 1인당 월평균 108만원을 지원했지만 창업자에게는 14만원 적은 평균 94만원을 지원했다”며 “창업지원은 지속적인 일자리를 만들고 추가 고용도 가능한 효과적인 고용창출 방안”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7월부터 청년창업센터에 입주한 1021개 기업 중 215개 기업이 294명을 추가 고용했다. 3월 현재 915개 기업이 강남·강북 청년창업센터에 입주해 1719명이 일하고 있다.
성과가 부진하거나 등록을 하지 않는 기업은 걸러냈다. 3개월마다 한번씩 평가해 입주기업 3%정도를 퇴출시켰다. 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경쟁원리를 도입한 것이다.
최 본부장은 “창업한 기업들이 성공하려면 최소한 3~5년의 기간이 필요하지만 1년 동안만 전폭 지원하는 것은 그 기간을 줄이는 기회로 활용하라는 뜻”이라며 “창업지원센터가 하나의 작은 시장이고 그 속에서 경쟁을 통해 생존하는 방법을 터득해야 큰 시장에 나가서도 생존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체험하도록 경쟁원리를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당초 센터 입소기간을 1년으로 정했지만 창업기업중 10%를 선발해 사무실만 1년간 추가 지원한다.
서울시는 다음달 ‘서울 창업활성화 종합 마스터플랜’을 수립할 예정이다. 청년층뿐만 아니라 조기 퇴직자 등 장년층과 여성 창업희망자에 대해서 맞춤형 창업지원체계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2030세대와 4050세대를 연결해 서로 장점을 키우고 단점을 보완해 창업성공에 한발 더 다가서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최 본부장은 “청년창업 지원은 중소기업층이 두터워야 국가 경제가 건실할 수 있다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달 30일부터 5월 10일까지 제2기 청년창업자 1000명을 선발하기 위해 접수를 받고 있다. 참여를 원하면 서울일자리플러스센터 홈페이지(job.seoul.go.kr)에서 접수하면 된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