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일부지역 두자릿수 상승 … 2기 신도시는 큰폭으로 내려
경기와 인천, 신도시 등 부동산 시장이 2008년 말 미국발 금융위기때 보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여파로 최저점을 기록한 2008년 12월부터 현재까지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2.6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서울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인 인천, 경기, 신도시는 가격이 떨어졌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은 금융위기 이후부터 지금까지 5.26%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강북구(12.89%) 서초구(12.17%) 송파구(10.06%) 등이 두자릿수 이상 오르며 상승세를 주도했다.
서울 시세는 금융위기 때보다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그동안 강남권 재건축을 중심으로 큰폭으로 확산됐다. 실제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의 경우 금융위기 이후 저점이었던 2008년 12월부터 지금까지 무려 20.47%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에 반해 나머지 수도권 지역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일부 지역은 금융위기보다 더 큰 한파를 겪고 있다. 우선 신도시 지역이 -1.28%로 하락세가 가장 컸으며, 경기도(-0.76%) 인천(-0.74%) 순으로 나타났다.
신도시 중에서 가장 큰 하락세를 보인 지역은 2기 신도시로 파주신도시가 -6.03%의 변동률을 보였다. 김포신도시도 -5.70%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경기가 침체된 가운데 입주물량이 대거 공급됐고, 수도권 보금자리주택 사전예약도 하락세를 도왔다.
경기도에서는 광주시(-4.11%)와 용인시(-3.18%)가, 인천에서는 중구(-2.16%)가 큰 하락세를 기록했다.
용인은 금융위기 여파로 하락한 시세가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더욱히 5~6월에는 4000가구 이상 추가 입주물량이 대기하고 있어 하락세가 반전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 인천 중구는 영종도에 위치한 운서동 중심으로 가격하락을 보였다.
이영진 닥터아파트 리서치연구소장은 “주택공급이 집중됐던 인천, 경기지역이 시장침체 영향을 더 크게 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서울과 수도권의 양극화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경기와 인천, 신도시 등 부동산 시장이 2008년 말 미국발 금융위기때 보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여파로 최저점을 기록한 2008년 12월부터 현재까지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2.6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서울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인 인천, 경기, 신도시는 가격이 떨어졌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은 금융위기 이후부터 지금까지 5.26%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강북구(12.89%) 서초구(12.17%) 송파구(10.06%) 등이 두자릿수 이상 오르며 상승세를 주도했다.
서울 시세는 금융위기 때보다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그동안 강남권 재건축을 중심으로 큰폭으로 확산됐다. 실제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의 경우 금융위기 이후 저점이었던 2008년 12월부터 지금까지 무려 20.47%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에 반해 나머지 수도권 지역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일부 지역은 금융위기보다 더 큰 한파를 겪고 있다. 우선 신도시 지역이 -1.28%로 하락세가 가장 컸으며, 경기도(-0.76%) 인천(-0.74%) 순으로 나타났다.
신도시 중에서 가장 큰 하락세를 보인 지역은 2기 신도시로 파주신도시가 -6.03%의 변동률을 보였다. 김포신도시도 -5.70%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경기가 침체된 가운데 입주물량이 대거 공급됐고, 수도권 보금자리주택 사전예약도 하락세를 도왔다.
경기도에서는 광주시(-4.11%)와 용인시(-3.18%)가, 인천에서는 중구(-2.16%)가 큰 하락세를 기록했다.
용인은 금융위기 여파로 하락한 시세가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더욱히 5~6월에는 4000가구 이상 추가 입주물량이 대기하고 있어 하락세가 반전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 인천 중구는 영종도에 위치한 운서동 중심으로 가격하락을 보였다.
이영진 닥터아파트 리서치연구소장은 “주택공급이 집중됐던 인천, 경기지역이 시장침체 영향을 더 크게 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서울과 수도권의 양극화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