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와 검찰 고위 간부의 지난해 평균재산은 17억원으로 파악됐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일 공개한 법무·검찰 고위 공직자 58명의 재산변동 사항에 따르면 이들의 평균 재산총액은 전년보다 2030만원 줄어든 16억999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검찰 간부들이 주로 거주하는 서울 서초구와 강남구 지역의 아파트값이 지난해 전반적으로 하락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공개 대상 58명 중 32명의 재산이 줄어든 반면 늘어난 대상자는 25명에 그쳤고 1명은 재산 변동이 전혀 없었다.
1년 새 재산이 가장 많이 줄어든 검찰 간부는 박한철 서울동부지검장(8억9500만원 감소)으로 지난해 노인요양시설 설립과 관련해 시가 9억원이 넘는 서울 서초구아파트를 한 종교단체에 기부했다.
재산이 늘어난 대표적인 사례로는 예금액만 전년도 9200만원에서 17억6000만원으로 급증한 김영한 대구지검장(8억1500만원 증가)과 역시 예금액이 6억원 가까이 늘어난 최교일 법무부 검찰국장(5억9000만원 증가) 등이 꼽힌다.
최 국장은 재산총액 77억8700만원으로 1위에 올랐다. 이재원 의정부지검장(48억8900만원)과 김경수 부산지검 1차장검사(46억800만원)이 뒤를 이었다.
이귀남 법무부 장관은 전년보다 2700만원 많은 15억2400만원, 김준규 검찰총장은 5800만원 늘어난 23억8900만원을 신고했다. 한편 30억원 이상의 재산을 보유한 법무ㆍ검찰 간부는 모두 7명으로 공지됐다.
문진헌 기자jhmun@naeil.com
[2010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관련기사]
- 고지거부 공직자 매년 증가
- 고위공직자는 경제위기 무풍지대?
- 주식·펀드↑ 부동산↓
- 이 대통령 재산 49억대
- 오세훈 서울시장 2억원 늘었다
- 국무위원 평균 26억여원
- 국회의원 53% 재산 늘었다
- 고위법관 26명, 재산 1억 이상 늘어
- 역시 ‘부자’ 한나라당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이는 검찰 간부들이 주로 거주하는 서울 서초구와 강남구 지역의 아파트값이 지난해 전반적으로 하락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공개 대상 58명 중 32명의 재산이 줄어든 반면 늘어난 대상자는 25명에 그쳤고 1명은 재산 변동이 전혀 없었다.
1년 새 재산이 가장 많이 줄어든 검찰 간부는 박한철 서울동부지검장(8억9500만원 감소)으로 지난해 노인요양시설 설립과 관련해 시가 9억원이 넘는 서울 서초구아파트를 한 종교단체에 기부했다.
재산이 늘어난 대표적인 사례로는 예금액만 전년도 9200만원에서 17억6000만원으로 급증한 김영한 대구지검장(8억1500만원 증가)과 역시 예금액이 6억원 가까이 늘어난 최교일 법무부 검찰국장(5억9000만원 증가) 등이 꼽힌다.
최 국장은 재산총액 77억8700만원으로 1위에 올랐다. 이재원 의정부지검장(48억8900만원)과 김경수 부산지검 1차장검사(46억800만원)이 뒤를 이었다.
이귀남 법무부 장관은 전년보다 2700만원 많은 15억2400만원, 김준규 검찰총장은 5800만원 늘어난 23억8900만원을 신고했다. 한편 30억원 이상의 재산을 보유한 법무ㆍ검찰 간부는 모두 7명으로 공지됐다.
문진헌 기자jhmun@naeil.com
[2010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관련기사]
- 고지거부 공직자 매년 증가
- 고위공직자는 경제위기 무풍지대?
- 주식·펀드↑ 부동산↓
- 이 대통령 재산 49억대
- 오세훈 서울시장 2억원 늘었다
- 국무위원 평균 26억여원
- 국회의원 53% 재산 늘었다
- 고위법관 26명, 재산 1억 이상 늘어
- 역시 ‘부자’ 한나라당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