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갈이는 없었다. 현역 단체장에 대한 정치신인의 도전은 헛발질에 불과했다.” 한나라당 아성인 대구 경북지역 한나라당 공천에 대한 대체적인 평가다.
6·2지방선거의 공천자결정이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 한나라당 대구시당과 경북도당은 일부지역을 제외한 거의 모든 지역에 현역단체장을 재공천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까지 대구의 8개 기초단체장 가운데 7곳의 공천자가 결정됐다. 이중 5곳에서 현역단체장이 공천받았다. 현역군수가 불출마를 선언한 달성군과 무소속인 서구청장을 빼면 현역 단체장이 모두 공천된 셈이다.
남은 곳은 수성구청장 공천 1곳 뿐이다. 유력후보인 김형렬 수성구청장이 공천심사기간 중 정치자금법 위반혐의로 전격 기소되면서 공천이 지연되고 있다. 후보간 공방이 있고 주호영·이한구 두 의원의 의견도 조율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경북에서도 26일까지 칠곡, 문경, 영양, 예천, 경산 5곳을 제외한 18곳의 기초단체장 후보공천이 확정됐다. 공천이 확정된 18개 시군 가운데 안동, 경주, 영주, 봉화, 성주 5곳만 현역단체장이 공천경합에서 고배를 마셨다. 경주는 백상승 현 시장이 경찰수사와 검찰 기소 등으로 밀려났으며 안동과 성주는 재선인 김휘동 안동시장과 이창우 군수가 불출마를 선언한 지역이다.
순수 공천심사를 통해 현역이 물갈이된 곳은 경주와 영주, 봉화 등 3곳에 불과하다. 이미 공천이 확정된 군위와 고령은 3선지역으로 장욱 전 도의원과 고령의 곽용환 전 다사면장이 새로 공천을 받았다.
아직 공천심사 중인 대구 수성구와 경북 칠곡, 경산, 문경에도 현역단체장이 강력한 후보로 버티고 있다. 공천이 철회된 영양군은 전략공천지역으로 분류됐으며 예천은 3선지역으로 새로운 군수 후보가 공천된다.
이처럼 현역중심으로 진행된 이번 6·2지방선거의 한나라당 공천 은 지난 2006년 대구 7명, 경북 11명이 교체된 것과 비교해 훨씬 낮은 것이다.
한 여론조사기관의 대표는 “교체지수가 1등이고 현역의원간 심각한 갈등을 빚어 교체가능성이 높았던 지역의 현역단체장이 여론조사를 통해 재공천되고 있다”며 “응답률이 5%도 안돼 조사가치가 없는 여론조사만으로 공천자를 결정하는 방식은 현직에게 공천을 주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라고 지적했다.
대구 최세호 기자 seh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6·2지방선거의 공천자결정이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 한나라당 대구시당과 경북도당은 일부지역을 제외한 거의 모든 지역에 현역단체장을 재공천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까지 대구의 8개 기초단체장 가운데 7곳의 공천자가 결정됐다. 이중 5곳에서 현역단체장이 공천받았다. 현역군수가 불출마를 선언한 달성군과 무소속인 서구청장을 빼면 현역 단체장이 모두 공천된 셈이다.
남은 곳은 수성구청장 공천 1곳 뿐이다. 유력후보인 김형렬 수성구청장이 공천심사기간 중 정치자금법 위반혐의로 전격 기소되면서 공천이 지연되고 있다. 후보간 공방이 있고 주호영·이한구 두 의원의 의견도 조율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경북에서도 26일까지 칠곡, 문경, 영양, 예천, 경산 5곳을 제외한 18곳의 기초단체장 후보공천이 확정됐다. 공천이 확정된 18개 시군 가운데 안동, 경주, 영주, 봉화, 성주 5곳만 현역단체장이 공천경합에서 고배를 마셨다. 경주는 백상승 현 시장이 경찰수사와 검찰 기소 등으로 밀려났으며 안동과 성주는 재선인 김휘동 안동시장과 이창우 군수가 불출마를 선언한 지역이다.
순수 공천심사를 통해 현역이 물갈이된 곳은 경주와 영주, 봉화 등 3곳에 불과하다. 이미 공천이 확정된 군위와 고령은 3선지역으로 장욱 전 도의원과 고령의 곽용환 전 다사면장이 새로 공천을 받았다.
아직 공천심사 중인 대구 수성구와 경북 칠곡, 경산, 문경에도 현역단체장이 강력한 후보로 버티고 있다. 공천이 철회된 영양군은 전략공천지역으로 분류됐으며 예천은 3선지역으로 새로운 군수 후보가 공천된다.
이처럼 현역중심으로 진행된 이번 6·2지방선거의 한나라당 공천 은 지난 2006년 대구 7명, 경북 11명이 교체된 것과 비교해 훨씬 낮은 것이다.
한 여론조사기관의 대표는 “교체지수가 1등이고 현역의원간 심각한 갈등을 빚어 교체가능성이 높았던 지역의 현역단체장이 여론조사를 통해 재공천되고 있다”며 “응답률이 5%도 안돼 조사가치가 없는 여론조사만으로 공천자를 결정하는 방식은 현직에게 공천을 주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라고 지적했다.
대구 최세호 기자 seh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