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아파트 월세 이율이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뱅크(www.neonet.co.kr)는 최근 전국의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월세를 조사한 결과
서울과 수도권의 월세 연이율이 11.5%였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지난 7월 조사때의 13.6%보다 2.1% 하락한 수치다.
경기도 지역은 13.4%로 지난 7월의 15.1%보다 1.7% 낮아졌으며, 5대 광역시는 15.1%에서 14.0%로 1.1%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형별로는 월세 공급 과잉 현상이 두드러지는 소형 평형의 하락폭이 컸다. 11~20평형대 소형평형은 14.4%로 지난 조사 때의 16.8%보다 2.4%포인트 하락해 가장 많이 내렸으며, 다음으로 21~30평형대(15.2%→13.4%), 31~40평형대(14.4%→12.8%), 41~50평형대(14.0%→12.4%) 등이 뒤를 이었다.
이와 관련해 부동산뱅크 양해근 팀장은 “전세의 월세전환이 확대돼 월세 공급물량은 풍부한 반면 세입자들은 여전히 전세를 선호해 이율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서울에서 월세가 가장 비싼 곳은 연이율 12.7%를 기록한 종로구가 차지했다. 신도시 지역에서는 중동(11.5%), 경기도에서는 평택(16.5%), 광역시에서는 울산(16.5%)의 월세이율이 가장 높았다.
부동산뱅크(www.neonet.co.kr)는 최근 전국의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월세를 조사한 결과
서울과 수도권의 월세 연이율이 11.5%였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지난 7월 조사때의 13.6%보다 2.1% 하락한 수치다.
경기도 지역은 13.4%로 지난 7월의 15.1%보다 1.7% 낮아졌으며, 5대 광역시는 15.1%에서 14.0%로 1.1%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형별로는 월세 공급 과잉 현상이 두드러지는 소형 평형의 하락폭이 컸다. 11~20평형대 소형평형은 14.4%로 지난 조사 때의 16.8%보다 2.4%포인트 하락해 가장 많이 내렸으며, 다음으로 21~30평형대(15.2%→13.4%), 31~40평형대(14.4%→12.8%), 41~50평형대(14.0%→12.4%) 등이 뒤를 이었다.
이와 관련해 부동산뱅크 양해근 팀장은 “전세의 월세전환이 확대돼 월세 공급물량은 풍부한 반면 세입자들은 여전히 전세를 선호해 이율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서울에서 월세가 가장 비싼 곳은 연이율 12.7%를 기록한 종로구가 차지했다. 신도시 지역에서는 중동(11.5%), 경기도에서는 평택(16.5%), 광역시에서는 울산(16.5%)의 월세이율이 가장 높았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