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국적으로 40만가구의 주택이 공급된다. 연초 계획했던 것보다 3만가구 줄어든 규모다.
수도권에서 26만가구, 지방에서 14만가구 공급되며, 이 중 18만가구가 공공부문 보금자리주택으로 건설된다.
국토해양부는 18일 이같은 내용의 ‘2010년 주택종합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국토부는 민간 건설경기 침체와 지방 미분양 주택 등을 고려해 목표치를 하향조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지난해 실제 주택공급 실적(38만2000가구)보다는 5% 정도 많다.
보금자리주택은 지난해(16만8000가구)보다 7% 가량 늘었다. 보금자리주택 중 16만5000가구는 LH 등 공공기관이 직접 건설하는 것이고, 나머지 1만5000가구는 재개발·재건축 용적률 완화로 건설하는 주택의 일부를 공공기관이 매입해 임대하는 것이다.
유형별로는 분양주택이 지난해보다 5.6% 감소한 29만가구, 임대주택은 47.3% 늘어난 11만가구가 공급된다.
임대주택은 국민임대주택 5만가구(수도권 4만, 지방 1만가구), 영구임대주택 1만가구, 10년임대 및 장기전세 등 4만가구, 주택건설업체가 건설하는 민간임대 1만가구 등이다.
김병국 기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수도권에서 26만가구, 지방에서 14만가구 공급되며, 이 중 18만가구가 공공부문 보금자리주택으로 건설된다.
국토해양부는 18일 이같은 내용의 ‘2010년 주택종합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국토부는 민간 건설경기 침체와 지방 미분양 주택 등을 고려해 목표치를 하향조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지난해 실제 주택공급 실적(38만2000가구)보다는 5% 정도 많다.
보금자리주택은 지난해(16만8000가구)보다 7% 가량 늘었다. 보금자리주택 중 16만5000가구는 LH 등 공공기관이 직접 건설하는 것이고, 나머지 1만5000가구는 재개발·재건축 용적률 완화로 건설하는 주택의 일부를 공공기관이 매입해 임대하는 것이다.
유형별로는 분양주택이 지난해보다 5.6% 감소한 29만가구, 임대주택은 47.3% 늘어난 11만가구가 공급된다.
임대주택은 국민임대주택 5만가구(수도권 4만, 지방 1만가구), 영구임대주택 1만가구, 10년임대 및 장기전세 등 4만가구, 주택건설업체가 건설하는 민간임대 1만가구 등이다.
김병국 기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